[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전세 사기 피해자가 3만 명을 넘어섰다. 피해 지역은 60% 이상이 수도권에 분포했으며, 그 외에 대전과 부산이 뒤를 이었다. 피해자의 75.1%가 20~30대 청년층으로, 사회 초년생과 청년층의 피해가 두드러졌다.국토교통부는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시행 이후 지난달 31일 기준 3만 400건을 피해자로 결정했다고 26일 밝혔다.피해자 접수 건수는 최근 감소 추세다. 2023년 6월 약 3400건에 달했으나 올해 5월 약 1700건 수준으로 줄었다. 이에 따라 결정건수 역시 2023년 8월 2700건 대비 올해 5월 기준 900건으로 감소했다.피해자의 60.3%는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었다. 서울이 8334명(27.4%)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6657명(21.9%), 대전 3569명(11.7%), 인천 3341(11.0%), 부산 3328명(10.9%) 순이었다.기초지자체별로는 경기 수원시(2112건), 인천 미추홀구(2059건), 서울 관악구(1829건)·강서구(1503건) 등에서 많이 발생했다.전세가구 만 가구당 피해자 수 분석 결과 대전(331건), 인천(190건), 부산(187건) 3개 지역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피해는 20~30대 청년층(75.1%) 중심으로 발생했다. 30대의 비중(49.28%)이 가장 많고, 20대(25.83%), 40대(13.95%)가 그 뒤를 이었다. 이 상위 세 연령대가 전체 피해자의 89.07% 차지한다.모든 지자체에서 30대 피해자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인천·전남 등 일부 지역 외 대부분의 지역에서 20대의 비중이 뒤를 이었다.보증금 규모는 대다수가 3억원 이하(97.46%)였다. 1억~2억 원이 42.31%로 최다였고, 1억 원 이하가 41.88%로 두번째로 높았다.지자체 중 전세가가 높은 서울·세종·경기는 1억 원 초과~2억 원 이하가, 그 밖의 지역은 1억 원 이하가 보증금의 다수였다.피해주택 유형으로는 다세대(30.3%) 비중이 가장 높으나, 오피스텔(20.8%), 다가구(17.8%), 아파트(14.2%)에도 상당수 거주했다.서울·경기는 다세대, 부산·인천은 오피스텔, 대전·대구는 다가구, 전남·광주는 아파트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지역별로 상이했다.경·공매 종료된 6130건의 1인당 평균 보증금은 1억 3000만 원, 배당으로 회수된 금액은 약 6000만 원(46.7%)이다.미회수 보증금은 약 7000만 원으로 1억 원 이하가 76.1%로 최다였고, 1억 원 초과 ~2억 원 이하가 20.2%로 차순위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