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는 ‘AI 3대 강국’을 선언하며 2030년까지 100조 원 투자와 국가 AI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을 내놓았다. 그러나 정작 가장 중요한 전력 확보 방안은 부재하다. AI 산업은 ‘전기 먹는 하마’로, 생성형 AI 한 번의 실행에 구글 검색의 10배 이상 전기가 필요하고, 이미지 생성 AI는 스마트폰 충전만큼의 에너지를 소모한다. 앞으로 데이터센터가 600곳 이상으로 늘어나면 국가 전력 소비의 절반을 차지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재생에너지만 강조한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는 “재생에너지를 주 에너지원으로, 원전은 보조로”라고 했고, 실제 2차 추경에서 재생에너지 관련 예산에 1100억 원을 편성했지만 원전 예산은 0원이다. 이는 안정적인 전력 확보라는 현실을 무시한 결정이다.현재 국내 발전 비중은 원전이 31.7%, 재생에너지가 10.6%다. 재생에너지를 주력으로 삼기 위해선 전국에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을 깔아야 하지만, 이 역시 날씨에 따라 공급이 불안정하다. 반면 세계 주요국은 AI와 에너지 안보 대응 차원에서 원전 확대에 나서고 있다. 미국은 2050년까지 원전 용량을 4배 늘리겠다고 발표했고, 벨기에·덴마크·대만 등도 탈원전 정책을 철회했다. AI가 몰고 올 전력 수요를 감당하려면 원전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기술을 보유하고도 과거 탈원전 정책으로 생태계를 약화시켰고, 인재와 기자재 공급망까지 무너졌다. 지금이라도 이념이 아닌 과학과 수요 중심의 에너지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
AI 강국 실현을 위해선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전력 공급이 필수다. 원전 없는 AI는 허상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