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지역 최대 숙원사업인 포항 영일만대교 건설사업 예산이 정부의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에서 전액 삭감되면서, 사업이 좌초될 위기에 놓였다.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5년도 2차추경안에 따르면, 포항-영덕 고속도로 건설예산 2,043억원 중 영일만 횡단대교 구간 공사비 1,821억원(공사비 1,260억원, 보상비 561억원)이 전액 삭감됐다.지난 2008년부터 포항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해오던 영일만대교사업은 매년 찔금예산으로 명맥을 유지해오다, 윤석열 정부들어 본격 추진되기 시작했다.하지만 이번 정부의 2차 추경에서 영일만대교 건설 예산 전액이 삭감되면서 사업자체가 장기간 표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이 사업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해 쉽사리 무산되지 않을 것이란 한가닥 희망도 있다.그러나 18년이란 긴 세월동안 사업비가 당초 1조2천억원에서 무려 4배 가량안 4조원대로 훌쩍 급증하자, 국토부는 예산절감을 위해 노선변경에 들어가는 등 혼선을 거듭하고 있다.이러한 가운데 뜻하지 않게 2차 추경에서 대교 건설예산 1,821억원이 전격 삭감되자 지역사회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공원식 포항지역발전협의회 회장은 “영일만대교 건설은 오래전부터 추진돼 온 지역 최대 숙원사업으로, 지난 2017년 문재인 정부에서 제1차 고속도로 건설 5개년 계획에 포함돼 영일만 횡단구간으로 노선 명시됐다.”며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시절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 적극 추진’을 공약으로 내걸었으니 하루빨리 노선을 확정하고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이어 “지난 정부나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한 영일만대교 건설 사업 예산을 전 국민 민생지원금 지급이란 명분으로 SOC사업 예산 전액을 삭감해 동해안 주민들의 숙원사업을 좌초시켜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18년이란 오랜 기간 표류해 온 영일만 대교 건설사업은 MB정권시절 ‘형님예산’으로 불리며 홀대를 받는 등 우여곡절이 많았다. 그러나 3년전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사업으로 선정되면서 본격적인 탄력이 붙는 듯 했다.하지만 국토부가 예산절감을 이유로 노선변경에 들어가자 지역민들이 크게 반발하면서 또다시 표류했다.포항시는 영일만 횡단대교는 당초 계획안대로 동해면에서 흥해읍까지 연결해 명실상부한 지역의 랜드마크로 건설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맞추어 포항시 도시계획이 수립되어 있기 때문이다.사실상 해상구간을 최소화하고 육지구간을 늘릴 경우 대교로서의 위상은 물론 지역 경제 파급효과도 현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당초안대로 해상 9km중 해상 5.3km구간은 터널, 나머지는 해상교량으로 건설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이 경우 인공섬 조성에만 많은 지역 건설업체가 참여하면서 경제유발효과가 크다는 것이다.19만여㎡에 달하는 인공섬 조성에는 500만 루베의 토사등이 매립 자재로 사용될 정도로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이들 토사를 운반하기 위해 동원되는 덤프트럭만 해도 70만발에 달하면서 운반비용만 1천억원을 넘으면서 지역 경제 파급효과가 크다고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영일만대교가 건설되면 서·남해안에 치우친 국가 도로망을 ‘U자형’으로 완성해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 지역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고, 남북 10축 단절구간이 연결돼 포항이 관광·산업물류 도시로 급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