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을 비롯한 국내 철강산업이 중대한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의 대(對)한국 철강 관세 인상, 글로벌 수요 둔화, 중동 정세 불안에 따른 물류·에너지 리스크가 동시에 겹치며 생존 그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    철강업계 1·2위 기업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일부 제철소를 폐쇄하거나 휴업에 들어갔고, 중소 협력업체들은 일감 부족과 가동률 하락으로 휘청이고 있다. 철강산업의 지역 기반인 포항의 고용과 상권은 직접적 타격을 받고 있으며, 이대로라면 포항은 미국의 `러스트벨트`처럼 산업 몰락 도시로 전락할지도 모른다.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경북도가 철강업계 지원에 나선 것은 다행스럽다. 철강 관련 기업의 고용 유지를 위해 임금 일부를 지원하고, 매출이 줄어든 기업에는 자금 투입을 예고했다. 비록 일시적 조치일 수 있으나, 철강업계가 버틸 수 있도록 ‘숨통’을 틔워주는 최소한의 안전판 역할은 충분히 할 수 있다.    정부도 뒤따라야 한다. 전기료 인하, 국산 철강 우선 사용, 철강산업 특별법 제정 같은 근본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철강을 민간 산업이 아닌 국가전략산업으로 재정의해야 한다는 업계 주장도 더 이상 외면해선 안 된다.위기는 곧 기회다. 관세 장벽과 저가 공세를 뚫을 해법은 ‘기술’에 있다. 포스코가 독자 개발한 고망간강은 미래 함정의 핵심 소재로 인정받고 있으며, 방산 및 조선산업으로의 확장을 예고하고 있다. 일반 선급강보다 강도는 높고 비자성 특성을 지닌 이 소재는 자국 보호주의의 파고를 넘는 기술경쟁력의 상징이다. 국가가 기술력 확보와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총력을 다할 때다.지금은 철강산업을 외면하거나 생존경쟁에만 내몰아 둘 때가 아니다. 미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 삼아 관세 폭탄을 던지는 동안, 일본은 외교력을 동원해 미국 내 생산기지를 확보하며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대미 외교에서도 소극적이란 지적을 받고 있다. 이제라도 철강 외교 전략을 전면 재점검하고, 관세 회피를 위한 실질적 협상 방안을 정부가 중심이 돼 마련해야 한다.철강은 반도체, AI만큼이나 중요한 대한민국의 기간산업이다. 정부와 지자체, 국민 모두의 총체적 대응 없이는 포항도, 철강도 미래를 보장받을 수 없다. 지금이야말로 철강산업을 보호하고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골든타임’이다. 이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