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안이 국회로 넘어왔으나 추경 심사에 난관이 예상된다. 7월 중 전 국민에게 소비쿠폰을 지급하겠다는 정부여당의 계획이 늦춰질 수도 있다.국회 원 구성,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등 각종 현안에서 여당과 국민의힘이 갈등하고 있기 때문이다.22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르면 6월 말 늦어도 7월 초에는 추경안 심사를 마무리해 정부를 뒷받침하겠다는 입장이다.그러나 당장 예결위원장이 공석인 상황에서 국회 원 구성이 되지 않으면 추경안 심사를 진행할 수 없다. 만약 이날 예정된 이재명 대통령 주재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에서도 별다른 성과가 없을 경우 정부와 여당의 신속한 추경안 집행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이 대통령은 지난 19일 국무회의에서 20조 2000억 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을 심의·의결하며 국회의 신속한 심사를 당부했다. 정부는 오는 23일 국회에 추경안을 제출할 예정이다.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최대한 신속하게 해야 한다"며 "늦어도 7월 초까지는 통과시켜야 한다"고 했다.국민의힘이 정부의 추경안을 `정치 추경`으로 규정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협상이 쉽지 않아 보인다. 게다가 김 총리 후보자 청문회로 여야가 대립하고 있는 상황도 추경 심사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특히 원 구성이 안 될 경우 추경안 심사를 진행할 수 없지만 이를 두고 입장차가 여전히 큰 상황이다.앞서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19일 비공개 회동을 했지만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에 대해 합의점 도출에 실패했다.민주당은 공석인 국회 법제사법위원장과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비롯해 기획재정위원장, 운영위원장을 지난해 4월 22대 국회 출범 직후 논의했던 대로 배분하자고 주장하지만, 국민의힘은 여야가 바뀐 상황에서 여당 몫인 법사위원장을 야당에 넘겨야 한다는 입장이다.여야는 오는 23일 다시 만나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지만 입장차가 좁혀질지는 미지수다.여야가 극한 대립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22일 낮 12시 이 대통령 주재로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을 진행한다. 이번 회동에는 김병기 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송언석 원내대표가 참석한다.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추경안 통과와 김 총리 후보자 및 향후 내각 인선 관련 국회의 협조를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야당은 국회 원 구성, 김 총리 후보자 지명 등 여당과 대립하고 있는 현안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는 방침이다.이번 회동에서 정부·여당과 야당간 충돌은 불가피하겠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회동이 `협치를 통한 원활한 국정 운영`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