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대구지역 기업은 새정부에 경제 중심의 국정 운영, 경제 리더십을 강력히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구상공회의소가 대구지역 기업 444개사를 대상(250개사 응답)으로 실시(4~5일)한 ‘새정부에 바란다, 지역기업 의견 조사’에 따르면,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해 응답 기업의 96.4%가 ‘경제·산업‘을 최우선 과제로 지목했고, 이어서 ’외교‘(55.2%), ’사회복지·보건의료‘(41.6%), ’안보‘(34.0%) 순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이 직면해 있는 중대 경제 현안’에 대해서는 ‘경제 구조의 불균형(수도권 과밀화, 대기업-중소기업 격차 심화)’이 62.0%로 가장 많았고, 성장 동력 저하로 인한 ‘저성장 고착화’(49.6%),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인구 구조 변화’(46.0%)도 심각한 현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산업 전환과 글로벌 기술 경쟁격화’ 24.4%, ‘수출 의존 중심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불안’ 9.6%, ‘기타’ 0.4% 순)
‘새정부가 가장 시급히 추진해야 할 경제 정책’으로 ‘경기 부양 및 내수 활성화’가 78.8%로 가장 많았고, ‘물가 안정 정책’(31.2%), ‘고용 창출 및 일자리 정책’(27.2%) 순으로 답해 지역 기업은 직접적인 수요 기반 경기 부양책을 최우선으로 요구하면서 물가 안정, 일자리 정책도 수반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통상환경 변화 대응’ 24.0%, ‘금융시장 안정화’ 22.8%, ‘노동시장 제도 개선’ 9.2% 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에는 ‘지역 특화산업 고도화 및 전략산업 집중 육성’이 62.4%로 가장 많았고, ‘지방 이전 기업에 대한 세제·금융 등 인센티브 확대’(48.0%), ‘지역 인재 양성 및 노동시장 활성화’(34.8%) 순으로 나타났다.(‘지역 소비 및 자금순환 구조 강화’ 23.6%, ‘교육·의료·주거 등 정주 인프라 확충’ 17.6%, ‘지역 창업·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6.0%, ‘기타’ 0.4% 순)
‘대구 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청년 인재 유입 및 정착 지원’이 48.8%로 가장 많았고, ‘지역 강소기업 육성’(44.4%), ‘대기업 및 공공기관 유치’(44.0%), ‘지역 전략산업 집중 지원’(41.6%) 순의 4대 정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외 경제 환경에 대한 체감 경기’ 물음에 응답 기업 78.4%가 ‘나쁘다’(보통이다 19.7%, 좋다 1.6%)로 답하면서 현재 기업의 체감 경기가 상당히 위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경영 리스크’로는 ‘내수 부진’(67.6%)과 ‘고금리·고임금·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 부담’(56.8%)을 주 요인으로 꼽으면서, 수요 침체로 인한 매출 감소에 비용 구조 악화가 더해 기업 경영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수출입 여건 악화’ 27.6%, ‘인력 확보 및 고용 여건 악화’ 18.4%, ‘환경, 노동 등 각종 규제 강화’ 15.2%, ‘경쟁 국가·기업과의 각축 심화‘ 6.8% 순)
‘기업환경 개선을 위한 우선 추진 과제’로는 ‘세제 지원 확대 및 세부담 완화’(48.8%)와 ‘규제 혁신 및 제도 개선’(46.0%) 응답이 과반 가까이 나왔다. 다음으로 ‘기업 금융 및 자금 조달 지원’(34.8%), ‘노동시장 유연화 및 인력 확보 지원’(31.6%) 순으로 나타나 무엇보다 생존을 위한 직접적 지원이 우선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길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지역 기업들이 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새정부에 대한 기대도 크다”면서 “새정부는 경제 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지역 균형발전에도 적극 나서주기를 당부드린다”며 “대구상공회의소도 앞으로 지역 기업의 목소리를 면밀히 수렴해 정부에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제안하는 교두보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