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수가 미래지향형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다. 그래서 학교도 비례적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이 탓에 복식수업을 하거나 비전공 교사 운영이 불가피했었다. 이에 따라 경북교육청은 자체 통폐합 기준을 재검토해 교육과학기술부 기준에 따라 학생 수 60명 이하 학교(초247교, 중111교, 고4교)를 대상으로 적정규모 학교 육성정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이 정책에 따라 지금까지 제외되었던 도서나 벽지 학교 등을 인접 학교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통폐합 학교로 관리한다. 1면 1교 유지 등 획일적인 학교 유지 정책을 지양할 방침이다. 또한 학교 통폐합에 따른 지원 정책에 따라 군 단위 학교 재배치 지원으로는 기숙사, 체육관 등 다목적 시설 등이다. 더하여 통폐합 장려금(인센티브)으로는 학교 교육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정책을 강화한다. 그리고 폐지 학교는 지역 주민들을 위한 체육시설 등으로 활용토록 한다.
경부도내만 해도 폐교로 인해 폐허처럼 된 학교가 수두룩하다. 이를 지금까지는 거의 방치로 일관하다시피 했었다. 혹 이를 다시 리모델링하여 재사용하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부터는 경북교육청의 폐교를 재활용함으로써 활기를 뛸 것으로 본다. 또한 1면 1교 유지 정책으로 앞으로는 폐교가 지금보다는 훨씬 줄 것으로도 본다.
폐교를 줄임과 동시적으로 재활용 방침으로 인하여 이제부터는 폐교가 일시적이나마 황폐화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 그리고 설혹 폐교가 된다고 해도 지역 주민들이 다시 활용하는 쪽으로 간다면, 지역 주민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경북교육청의 이번 폐교 방침에 거는 기대가 크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