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9일 앞으로 다가온 25일 주요 후보들의 정치적 운명이 `득표율`에 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락은 물론 △국정운영 동력 확보 △당내 입지 △정계개편 주도권 등에 결정적 지표가 될 전망이다.   `1강`으로 꼽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를 두고는 과반(50% 이상) 득표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이 후보가 과반 득표에 성공한다면 대선 승리를 거머쥐는 것은 물론 탄탄한 국정운영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자신을 향한 `사법 리스크` 부담도 크게 덜어낼 수 있다. 보수 진영을 겨냥한 `내란 심판` 구상 역시 속도를 낼 수 있다.일단 조성된 환경은 나쁘지 않다. 탄핵 대선으로 보수 진영을 향한 책임론이 크고, 경선 후유증을 겪은 국민의힘은 뒤늦게 선거전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개혁신당은 원내 3석의 소수정당에 불과해 자금과 조직 면에서 민주당에 비해 크게 뒤처진다.다만 1987년 이후 과반 득표율은 2012년 당선된 박근혜 대통령이 51.55%로 유일할 정도로 달성이 쉽지 않은 목표이다.아울러 이 후보가 승리하더라도 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득표 합이 이 후보를 넘어선다면 민주당 역시 국민의 심판을 피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이 후보의 사법 리스크 부담도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문수 후보에게 대선 승리는 최고의 시나리오다. 그야말로 `올드보이의 부활`이라고 할 수 있다.낙선 시에는 `40% 이상`이 된다면 `졌지만 잘 싸웠다`(졌잘싸) 평가를 받을 전망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득표율 40%를 넘을 경우 탄핵 대선이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의미 있는 성적을 거뒀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는 국민의힘 지지율을 웃도는 수치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최근 30%대에 묶여 있다. 이를 넘어선 득표율을 기록할 경우 당 재건과 내년 지방선거를 위한 최소한의 초석은 마련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반면 득표율이 낮다면 당장 있을 지방선거 준비부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총선·대선에 이어 지방선거까지 패한다면 보수 위기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김 후보 개인에게도 중요하다. 30%대에 그치면 이재명 후보의 과반, 이준석 후보의 두 자릿수 득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후보 책임론`이 불거질 수밖에 없어 김 후보의 정치적 미래는 불투명해진다.한편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게 되면 당권 도전 등 선택지가 넓어질 전망이다. 지난 탄핵 대선 당시 24%를 득표한 홍준표 후보는 대선 직후 전당대회에서 당권을 잡았다.   이준석 후보에게 중요한 숫자는 10%다. 선거 비용 보전 기준이자, 보수 재편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준선이다. 득표율이 10%를 넘을 경우 선거 비용 절반을, 15%를 넘는다면 전액을 보전받는다.이 후보가 두 자릿수 득표율에 성공한다면 김 후보가 30%대를 기록하거나 이재명 후보가 과반에 실패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렇게 되면 이준석 후보는 보수 진영의 `차세대 주자`로 입지를 다질 전망이다,물론 실패한다면 선거 비용이란 현실적 문제에 부닥치는 것은 물론 개혁신당의 존재감 또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김 후보보다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면서도 두 후보의 합산이 이재명 후보를 넘을 경우에는 보수 진영 내에서 이준석 후보를 향한 `배신자 프레임`이 발동할 수 있다.가장 최근의 사례로는 20대 대선 당시 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있다. 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간 0.73%포인트(p) 차로 승패가 갈린 이 대선에서 2.37%를 받은 심 후보는 진보 진영 내 대선 패배 책임론에 시달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