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파면 후 47일 만에 이뤄진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첫 공개 행보를 두고 여야 정치권에 말들이 많다. ‘또 부정선거 음모론을 부추기냐’와 ‘당과 무관한 분’이란 반응 등이 나왔다. 각 정당이 윤 대통령 행보에 이렇게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윤 대통령의 영향력 때문이다. ‘윤 어게인(Yoon Again)’을 외치는 20~30 청년층 상당수가 ‘자유대학’이란 이름 아래 지금도 집회를 이어가고 있으며, 광화문과 여의도 집회에 나왔던 수백만의 국민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선거 초반부터 국민의힘과 윤 대통령을 분리하고자 대통령 탈당을 계속적으로 주장해 왔다. 탄핵된 타 정당의 대통령이지만, 그대로 있어서는 자당 선거 판세에 유리할 것이 없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민주당과 뜻을 같이한 국힘 인사들도 있다. 법무부장관직을 사임하고 나서부터 끊임없이 윤 대통령을 비판해 온 한동훈 전 대표, 이준석계인 김용태 비대위원장, 호남 출신 이정현 선대위원장, 민주당 출신의 양향자 선대위원장 등이다. 이들과 달리 김문수 국힘 대선 후보는 선관위를 문제점을 지적하는 발언을 당당히 제기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김 후보는 21일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유권자 중 누구라도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면 선관위가 해명하고, 해명할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며 선관위 책임론을 거론했다. 지난 4월 대선 2차 경선에서도 김 후보는 “부정선거는 있으며,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전투표제는 고쳐져야 하는데 민주당이 선거법 개정에 반대한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의 선관위 비판이 돋보이는 것은 일반 정치인들에게 볼 수 없는 태도이기 때문이다. 선거 전반을 관리하는 선관위 눈에 찍히면 선거운동 기간 사사건건 법적 조치를 당하는 것은 물론 당선 후라도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가 되지 않을까?’ 대부분의 후보들이 선관위 결정에 전전긍긍하는 모양새를 보이기 때문이다. 최근 국회를 찾은 이화여대 재학생의 지적도 국회와 선관위는 귀담아 들어야 한다. 그는 “대법관이 중앙선관위원장을 겸직하고 그 외 지역 선관위원장은 지역의 법관들이 맡게 되면서, 불공정하고 정치적 편향적 판결은 물론 선거 부정 의혹 재판들이 심리마저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는 민주주의 근간인 삼권분립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권력간 견제 기능이 마비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선관위는 논란이 된 부정 채용과 투표지 관리 부실 외에도 인력 부족을 이유로 투표관리관의 개인 도장 날인 거부와 바코드 번호를 임의로 삭제한 점 등 선관위법 위반을 중단해야 한다. 법을 밥 먹듯 위반하고 선관위법 준수를 촉구하는 이를 부정선거 음모론자로 몰아가는 선관위가 버젓이 존립할 수 있음은 사법부의 비호가 계속돼 왔기 때문이다.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감사원 감사까지 거부할 수 있게 된 선관위는 대통령, 국회의원, 광역기초단체장, 광역기초의원, 농협조합장, 새마을금고 이사장  등 각종 선거 출마자까지 통제하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는 기관이 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21일 서울 동대문구의 한 영화관을 찾아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 영화 관람은 제작자인 전한길 강사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부정선거는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발동 원인이며, 국가의 근간을 뒤흔들 심각한 범죄 사안인 만큼 이를 고려, 시사회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고로 경찰 등 수사기관을 두려워하는 자는 범죄자다. 부정선거란 말에 경기를 일으키고 선관위 수사에 정도 이상으로 극렬히 반대에 나서는 이들을 주의해야 한다. 선거법 앞에 당당한 자라면 당연히 사라져야 할 국가적 병폐인 부정선거를 감쌀 이유가 없으며, 논란이 생긴다면 오해를 벗고자 먼저 나서 검증을 받으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부정(不正)이 정(正)을 이기는 사회는 정상사회가 아니다. 국가 최고지도자가 되고자 하는 자라면 무엇보다 ‘비정상을 정상’으로 돌려 놓는 일에 사력을 다할 용기와 의지가 있어야 한다. 이번 6.3대선은 바로 이러한 지도자를 선출하기 위한 선거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