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류희철기자]"아리아, 살려줘!" 지난 18일 저녁 8시 22분 구미시 70대 독거 어르신 박모 씨는 갑작스러운 저혈당 쇼크 증세로 어지러움과 떨림을 느끼는 가운데 인공지능 스피커에 도움을 요청했다.스피커는 박 씨의 외침을 즉시 관제센터로 전달했고, 곧바로 119 구급대가 현장으로 향했다. 긴급 출동한 구급대는 응급처치를 통해 혈당을 안정시켰으며, 출동 전문업체에서는 다음날까지 이어진 후속 모니터링을 통해 어르신의 건강 상태를 확인했다.이번 사례는 기술과 돌봄이 결합한 구미시 `스마트 돌봄` 시스템이 실질적인 생명안전망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장면이다.구미시는 2022년부터 사회적 고립에 놓인 1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AI스피커와 스마트플러그를 보급해 스마트 돌봄 서비스를 시작했다. 2024년 4월부터 원격안부 관리 등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장해 왔으며, 전국 최초로 세 가지 돌봄 체계를 통합한 365일 24시간 통합관제출동시스템을 구축해 운영 중이다.이 시스템은 야간이나 주말, 공휴일에도 관리 공백 없이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즉각 대응할 수 있다. 관제센터는 스마트 돌봄을 일정시간 미이용 하여 움직임이 감지 되지 않거나,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현장출동으로 소중한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있다.실제 운영 성과도 뚜렷하다. 지난 1년여간 통합시스템을 통해 2만8천 건 이상의 전화 모니터링이 이루어졌고, 연락이 닿지 않은 고위험군 1천여 건에는 직접 현장 출동이 이뤄졌다. 이 중 98건은 즉시 읍면동 행정기관과 연계되어 후속 조치가 이어졌다. 이정화 복지정책과장은 "이번 사례를 통해 스마트 돌봄 서비스가 고립 위기 가구의 생명을 지키는 데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라며 "앞으로도 스마트 돌봄 체계를 확대하고 고독사와 사회적 고립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