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내수 부진이 장기화되고 수출마저 위태로운 상황에서 대구상공회의소와 대구시가 공동 추진하는 ‘공공조달 판로개척 지원 사업’이 지역 중소기업의 든든한 우군이자 조력자가 되고 있다.
특히 전국 주요 발주처(3300여 개)의 입찰정보를 매일매일 수집해서 기업별 맞춤식 정보로 가공해 주는 ‘맞춤형 입찰정보 서비스’가 대표 서비스로 가장 많은 기업들이 이용하고 있다.
올해 4월말 현재 1063개 기업이 ‘맞춤형 입찰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 업체의 1~4월 누적 낙찰 금액은 2063억원으로 전년 동기(868억원) 대비 240% 증가했다. 또한 낙찰 건수는 659건, 낙찰 업체수는 272개사로 4개월 만에 이용 기업의 30%가 낙찰에 성공하는 성과를 거뒀다.
낙찰 금액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건설경기 불황으로 정부․공공기관들이 물품․용역계약 보다 신규 시설공사 등 공사 부문에서 특히 예산을 신속 집행하고 있고, 지역 기업들도 매출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전국 단위 공공조달시장에 한층 집중한 결과로 풀이된다.
대구상의에서도 지역 중소기업의 공공조달시장 진입을 촉진하고자 올해는 지난해(1170개) 보다 지원업체수를 200개 이상 늘려 1400개까지 확대할 예정이어서, 낙찰 건수, 금액 등이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대구상의와 대구시는 ‘맞춤형 입찰정보 서비스’ 이외에도 △입찰 초․중급자를 위한 ‘전자입찰 실무교육’, 전문 컨설턴트가 1:1 맞춤형 상담을 해주는 중․고급자용의 ‘전자입찰 컨설팅’ △실무자들이 어려워하는 MAS(다수공급자계약) 등록을 위한 실무교육과 개별 컨설팅을 제공하는 ‘MAS등록 지원 사업’ △전자입찰에 필수인 신용평가등급 확인서의 수수료를 할인해 주는 ‘신용평가 지원 서비스’와 도급 거래처의 신용정보 확인 비용을 지원하는 ‘기업정보 조회 서비스’ 등 다양한 공공조달 지원 사업을 공동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상길 대구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국내 공공조달시장 규모가 200조원을 넘어섰고, 앞으로도 규모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예상 된다”면서 “국내외 경제상황이 다들 힘든 상황인데 지역 중소기업들이 조달시장에서 새로운 매출처를 확보하고 타 지역 업체들보다 앞설 수 있도록 대구상의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