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동수기자]지난 3월, 의성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은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영남권 전역으로 삽시간에 번지며, 주택과 산림은 물론, 농업과 어업 등 지역생업기반까지 모조리 삼켜버렸다. 이는 단순한 재난을 넘어, 지방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국가적 위기 상황이다.이에 경북도시‧군의회의장협의회는 지난 14일 제334차 월례회에서 안동시의회 김경도 의장의 제안으로 `영남권 초대형 산불 피해 복구 및 지역재건을 위한 특별법 제정 촉구 공동 건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 국회와 정부에 강력히 요구하기로 했다.김경도 의장은 제안 설명에서 “초고령화와 지방소멸 위험이 높은 지역이 현행 제도로는 피해 회복은커녕 생존조차 담보할 수 없다”며 “이제는 국가가 책임 있게 응답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아지고있는 실정이다.이번 공동 건의문에는 △피해 주택에 대한 현금·현물 지원 확대 △농림어업, 소상공인, 중소기업 등 생업 기반 복구에 대한 실질적 지원 △기초지자체의 재정 부담 완화와 국가 주도형 지역 재건 추진 △특별법 제정 이전이라도 예비비·추경을 통한 신속한 재정 지원 등 강력한 요구 사항이 담겼다.김 의장은 “이번 공동 건의문은 단순한 지역 이익을 위한 주장이 아니다. 기후위기 시대에 반복되는 초대형 재난에 대해, 대한민국이 과연 국민의 생명과 삶을 책임질 준비가 돼 있는지를 묻는 것”이라며, “경북시‧군의회의장협의회와 253만 도민의 뜻을 하나로 모아, 국회와 정부에 직접 이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경북시‧군의회의장협의회는 253만 도민과 함께, 초대형 재난으로 무너진 삶의 터전을 복구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법적·제도적 기반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는 절박한 마음을 담아 이번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재난 앞에 국민이 홀로 서지 않도록, 지방이 버려지지 않도록”, 경북시‧군의회의장협의회는 253만 도민과 함께 특별법 제정이 실현되는 그날까지 끝까지 한 목소리를 내고 행동할 것이다. 이제는 정부와 국회가 책임 있게 나설 때라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