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이 석탄을 제치고 사상 처음으로 국내 최대 에너지원으로 올라섰다. 17년간 1위를 지켜온 석탄은 3위로 내려앉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도 10.6%에 이르며 국내 에너지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다.원자력은 높은 효율성과 안정적인 공급 능력, 그리고 탄소중립 시대에 걸맞은 낮은 온실가스 배출량이라는 분명한 강점을 지니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원전 확대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이며,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산업 성장과 에너지 안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길이다.6·3 대선에 출마한 각 후보의 원전 정책은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2022년 대선 당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탈원전이 다소 과했다"고 언급하며 기존 문재인 정부의 정책에서 다소 후퇴한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신규 원전 건설은 최소화하고, 기존 원전의 수명 연장은 제한적으로 허용하겠다"고 밝혀, 사실상 원전 축소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대신 그는 재생에너지와 수소에너지 등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를 강조하고 있다.반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해 줄곧 "반(反)과학적이며 반국가적 자해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해 왔다. 그는 원자력이야말로 대한민국 산업 기반과 국가 경쟁력을 떠받치는 핵심 에너지라며,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원전 수출 산업화, 원자력 기술 인재 양성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정책은 분명하다. "원전 확대가 곧 국가의 살길"이라는 신념을 견지하고 있다.최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된 각 후보의 10대 공약에서도 차이가 뚜렷하다. 이재명 후보는 원전 관련 내용을 명시하지 않은 반면, 김문수 후보는 `AI·에너지 3대 강국` 공약을 제2순위로 제시하며, 대형 원전 6기 건설과 소형모듈원전(SMR)의 상용화 추진, 원자력 발전 비중을 현재 32.5%에서 60%(대형 원전 35%, SMR 25%)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를 통해 산업용 전기료 인하와 에너지 자립도 향상을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국제사회는 에너지 가격의 급등, 국제 정세의 불안정, 기후 위기, 그리고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전력 수급 변화 등 복합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재생에너지는 기술 성숙도와 기후 의존도 문제로 인해 당장 주력 에너지원이 되기 어렵다. 반면 원자력은 국내 기술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고, 단위 발전량당 비용이 낮으며, 탄소 배출이 거의 없다는 강점을 지닌다.미래 세대와 혁신 산업을 위한 국가 전략 차원에서도 원전 확대는 반드시 지속돼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원전의 절반을 보유한 경북도의 역할도 중요하다. 에너지 집약적 산업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유치,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 도입, 전력 수요 기반 산업단지 조성 등 지역 차원의 전략도 병행돼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