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 김승수 의원(국민의힘·대구 북구을)은 지난달 29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도시형 산불에 대해 좀 더 경각심을 가지고 대비할 것과 특수진화대원들의 수당 현실화, 소나무 재선충 훈증더미 수거, 임도 개설, 헬기의 운용체계 합리화 등 효율적인 진화체계를 구축해 줄 것을 요청하고, 영남지역 산불 피해자에 대한 지원대책에 만전을 기해줄 것도 당부했다.   먼저 김승수 의원은 전날 대구 북구 함지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과 관련하여 진화에 힘써준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과 임하수 남부지방산림청장,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을 비롯한 많은 산림청 진화대원들, 소방대원, 경찰, 군인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함지산 화재는 1990년 팔공산 이후 35년 만에 발생한 도시형 산불로 직접적인 민가 피해는 없었지만, 민가와 LPG 저장소 인접 지역까지 불길이 내려올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었다. 김 의원은 이를 계기로 도심형 산불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도시형 산불 예방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날 밤에 야간비행이 가능한 수리온 헬기가 투입돼 진화율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강조하며, 수리온 헬기의 추가 도입 필요성과 도입 계획에 대해 질의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수리온 헬기를 추가 구매할 계획 중이며, 이번 추경 예산안에 구입 예산이 포함돼 있다고 답변했다.   아울러, 밤새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산불 진화에 힘쓴 특수진화대원의 수당 현실화도 요청했다. 이에 위험수당은 아직 반영이 안 돼 있지만, 추경안에 포함돼 있다는 임 산림청장의 답변에 최상목 경제부총리에게 각별히 배려해 줄 것을 당부했다. 임도 개설과 소나무재선충 훈증더미의 수거 필요성도 지적했다. 함지산의 경우 산책로와 등산로가 많지만 정작 임도는 부족했던 사실을 지적하며, 산불재난 방지를 위해 임도를 설치할 경우 산림소유자의 동의가 없더라도 이를 강제하도록 하는 규정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어 김 의원은 임도 개설 예산을 인명피해 등이 극심할 수 있는 지역에 우선적으로 투입해 줄 것도 요청했다.   재선충병에 걸린 소나무를 처리한 훈증 더미가 산불 피해를 더 키우고 있는 사실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산불이 발생하면 훈증더미가 불쏘시개 역할을 한다며 훈증 더미를 바로 수거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질의했고, 피해 확대 방지를 위해 훈증 더미 제거를 위한 예산확보 요청에 임 산림청장은 긍정적인 답변으로 화답했다.   각 지자체에 대한 헬기운용 비용의 지원도 요청했다. 현재 각 지자체는 헬기를 임대해 사용하고 있으나, 임대비용은 지자체에게는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산불 위험성이 높은 산지가 많은 지자체의 경우에는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가 많은 실정이다. 더구나 대부분의 지자체 임대 헬기의 수령이 30년이 넘고 조종사의 나이도 70세가 넘는 분들이 많아 안전상의 문제점도 많이 지적되고 있다.   이어 산림청과 지자체, 소방청과 군대 등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헬기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마련하고, 우리나라를 3~4개의 권역별로 묶어서 통합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산불 피해로 임시대피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어르신들을 위한 공동 임대주택의 건립과 공급을 제안했다. 과거 고성산불 피해자에게 LH가 공동 임대주택을 제공한 사례를 예로 들며 피해주민들에게 주택을 공급하고 나아가 농촌지역 소멸을 막고 지자체의 구성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할 것을 건의했다.   한편 지난 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추가경정예산안은 총 12조2천억원으로 산림헬기 6대 신규 도입 비용 등 공중 진화능력 보강 1077억원, 산불특수진화대 위험수당 1억1900만원, 임도개설비용 1008억원 등이 포함됐다.   김승수 의원은 “지역구인 대구 북구의 함지산에서 화재가 발생해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 도중 산불 현장으로 달려갔다”며 “밤새 현장을 지켜보니 산불의 위험성과 진화대원들의 어려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김 의원은 “이번 추경안에 포함되지 않은 소나무재선충병 훈증더미 제거 추가 예산 등 산불 진화를 위해 필요한 예산은 추후에 증액되길 촉구한다”며 “우리에게 가슴 아픈 피해를 남긴 이번 영남 산불을 교훈삼아 좀 더 효율적인 산불진화체계를 구축하고, 고령자가 대부분인 피해자 지원대책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