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지난해 산업재해로 인한 사고사망자가 827명에 달한 것으로 지난달 30일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건설업(328명)에서 가장 많은 사고사망자가 발생했다.고용노동부는 이날 산재보상통계에 기반한 `2024년 유족급여 승인 기준 사고사망 현황`을 발표했다. 근로복지공단의 유족급여 승인 건수로 산출한 사고사망자는 827명으로 전년 대비로는 15명 늘었다. 사고사망만인율은 0.39‱(퍼밀리아드·1만 명당 0.39명)로 전년 수준으로 나타났다.업종별로는 △건설업 328명(39.7%, 28명↓) △제조업 187명(22.6%, 22명↑) △서비스업 145명(17.5%, 5명↑) △운수창고통신업 138명(16.7%, 27명↑) 순이었다.유형별로는 △떨어짐 278명(33.6%, 8명↓) △끼임 97명(11.7%, 9명↑) △사업장외 교통사고 87명(10.5%, 1명↑) △부딪힘 80명(9.7%, 11명↑) 순이었다.산재보험 가입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노무제공자 산재보험 가입이 2023년 7월 이후 전속성 폐지 등에 따라 78.2%(2022년 대비)나 급증했다.유족급여 승인을 받은 노무제공자는 18명 증가했고, 근로자는 3명 감소했다. 노무제공자의 경우 사업장외 교통사고 사고사망자(62명)가 가장 많았다.지난해 화성 아리셀 화재 사고(23명)도 유족급여 승인 사고사망자 수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고용부는 산재 사망사고 예방을 위해 `현장점검의 날` 등으로 소규모 사업장, 건설 현장 등 산업안전 취약 분야에 대한 현장의 지도·점검을 강화하고, 공사 현장 화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실천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감독을 받은 사업장 중 재발 위험성이 높은 사업장에 대해서는 감독 후 안전보건조치 이행 상황을 불시에 점검하는 확인 점검을 신설하고 법 위반사항 적발과 함께 취약 요인을 근본적으로 개선토록 권고안도 사업장에 적극적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