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경선 후보 캠프는 지난달 30일 종합소득세에 물가연동제를 도입하고 기본공제액을 상향하는 내용의 감세 정책을 발표했다.김문수 캠프 정책총괄본부장을 맡고 있는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캠프 사무실에서 "중산층을 힘들게 하는 세금 부담을 줄이겠다"며 공약을 발표했다.우선 중산층의 실질적 세금 부당 경감을 위해 종합소득세에 물가연동제를 도입하고 기본공제액을 현행 15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70세 이상 경로우대자 공제액을 현행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장애인 공제액을 현행 20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조정한다.은퇴자의 노후생활 보장을 위해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금액을 2천만원에서 3천만원으로 상향 조정해 근로소득 없이 금융소득만 있는 경우 어르신들의 세 부담을 낮춘다는 계획이다.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위해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24%에서 21%로 인하하고, 직장인 성과급의 세액 감면도 추진한다. 가업의 계속 운영을 통한 일자리 유지를 위해 상속세를 자본이득세 방식으로 개편하고, 배우자 간 상속세 폐지, 상속세 최고세율(50%) 조정, 최대 주주 할증(20%)제도도 없앤다는 계획이다.자녀 수와 무관하게 지원하던 6세 이하 자녀 월 20만원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를 자녀 수에 비례해 자녀 1인당 20만원으로 한도를 확대하고 2000㏄ 이하 승용차, 전기차의 개별소비세를 과세 대상에서도 제외한다.박 의원은 "물가상승률이 반영되지 못한 과표와 공제액으로 지난해 국세 대비 근로소득세 비중이 18%를 넘을 정도로 K-직장인의 삶이 어려워지고 있어 안타깝다"고 했다. 또한 "최근 28년간 상속세 공제 금액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돌아가신 사람 중 상속세 납부 비중이 1997년 1%에서 2023년 6.8%로 무려 7배나 증가했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이번 감세 공약은 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중산층에게 꼭 필요한 정책"이라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세금을 정상화함으로써 중산층이 더 두꺼워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