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지난해 `여성긴급전화 1366`이 하루 평균 약 804건, 총 29만3천여 건의 폭력 피해 상담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28일 2024년 여성긴급전화 1366 운영 실적을 발표했다.긴급전화센터1366은 가정폭력·성폭력·성매매, 스토킹·교제폭력·디지털성범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피해자라면 남성·여성 누구에게나 365일·24시간 초기상담 및 긴급구조·보호서비스를 지원한다.지난해 여성긴급전화 1366은 2023년 대비 921건 감소했다. 가정폭력 피해 상담은 14만8884건으로 2023년 대비 1만2천여 건 감소했으나, 전체 상담의 50.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지난해에는 특히 스토킹과 교제폭력 피해 상담이 증가했다. 스토킹 피해 상담의 경우 1만4553건으로 2023년(9017건)에 비해 61.4% 증가했고 교제폭력 피해상담은 1만1338건으로 2023년(9187건)에 비해 23.4% 증가했다.남성 피해자의 상담 이용률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상담 중 남성 비율은 6.3%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상담 유형은 가정폭력(66.2%), 디지털 성범죄(13.1%), 스토킹(12.6%) 순으로 나타났다.피해자의 긴급한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긴급피난처는 지난 한 해 동안 4486명이 이용했고 1인당 2.7일간 보호가 이루어졌다. 입소자 피해유형은 가정폭력(87.3%), 교제폭력(4.7%), 성폭력(2.2%)순으로 나타났다.조용수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장은 "여성긴급전화 1366은 폭력피해자에 대한 초기상담과 긴급구조·보호기능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통합구조기관으로서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며 "성별과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1366을 통해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