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예비주자들이 연일 대구·경북(TK)을 찾고 있다. 보수 정당의 전통적 지지기반이자 당세가 탄탄한 지역이니만큼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그러나 문제는 이 관심이 늘 선거철에만 집중된다는 데 있다. TK를 ‘보수의 성지’, ‘정치적 고향’이라 치켜세우지만, 정작 지역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바는 많지 않다.지역민 사이에선 “잡은 물고기라 밥을 안 준다”는 자조 섞인 말이 공공연하다. 경북도와 도민이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주요사업에 대해, 같은 당 국회의원조차 하나 된 모습으로 힘을 보태지 못했다. 이마저도 국익을 앞세운 결과라면 이해할 여지는 있지만, 정작 국익도 챙기지 못하면서 보수라는 이름 하나로 표만 얻으려는 행태는 용납될 수 없다.TK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위기는 인구 유출과 지방소멸의 위기다. 청년층은 교육과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고 있고, 경북의 다수 시·군은 이미 지방소멸 위험지수의 한계에 도달했다. 수십 년간 ‘국토 균형발전’이라는 말이 정치권의 단골 레퍼토리로 등장했지만, 국가 예산 배분, SOC 투자, 인재 양성 정책 등 실질적 지표에서 TK는 늘 소외돼 왔다.대구경북의 미래를 좌우할 통합신공항 사업은 군 공항 이전이라는 국가 안보 차원의 중대 사안까지 포함된 전략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중앙정부와 정치권의 관심은 턱없이 부족하다. 사업 일정은 번번이 지연되고, 항공산업 연계 클러스터나 MRO(항공정비) 산업 역시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포항의 경우, 동해안 산업벨트를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인 영일만대교 건설이 수년째 지지부진하다.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주장하며 정치권이 들썩였지만, 결국 대선이 가까워지면 다시 꺼내드는 ‘선거용 카드’로 전락했다. 또한, 포스텍을 기반으로 한 의과대학 설립은 단지 의료공백 해소가 아니라 바이오·의과학 융합산업이라는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조건임에도 여전히 정부의 관심 밖에 놓여 있다.구미는 한때 대한민국 산업화의 중심이었지만, 이제는 첨단산업으로의 전환 없이는 쇠락을 피할 수 없다. 반도체, AI, 첨단소재 등 차세대 산업으로의 전환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구미의 산업 인프라가 재도약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집중적 투자와 정책적 배려가 이뤄져야 한다.대선주자들은 이제 말만 앞서는 립서비스, 전시성 일정이 아니라 ‘정치적 고향’에 걸맞은 정책적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 TK에 걸맞는 구체적인 지원 계획과 예산 로드맵, 구체적 실천 계획을 반드시 제시해야 한다.오늘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4명이 최종 결정된다. 이번만큼은 지역의 현실을 제대로 아는, 지역민의 삶을 바꿔줄 실력과 의지를 갖춘 지도자가 선출되기를 기대한다. 정권 연장은 중요하지만, 지역의 생존과 재도약은 그보다 더 절실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