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지난해 농림어업 종사 인구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에서는 처음으로 고령층 비율이 50%를 넘어섰다.70세 이상 농업 경영주 비율도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24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 우리나라 농가 인구는 200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8만5000명 줄었다.고령화로 인한 농업 포기, 전업(轉業) 등의 영향으로, 농업 가구 수는 2만5000가구 줄어든 97만4000가구였다.어가 인구는 8만4000명, 임가 인구는 20만명으로 각각 3100명, 4500명 감소했다.농림어업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농가와 임가의 경우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각각 55.8%, 56.4%에 이르렀다. 어가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50.9%로 전년 대비 2.9%포인트 상승하며 절반을 넘겼다.시도별로 농가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북(16만3000가구)이었으며, 전체 농가의 16.7%를 차지했다. 전남(13만9000가구), 충남(11만3000가구)이 뒤를 이었다.농가 경영주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이 49만5000가구로 전체의 50.8%를 차지했다. 60대는 32만2000가구(33.1%), 50대는 12만5000가구(12.9%)였다.가구원 수 기준으로는 2인 가구가 전체 농가의 57.8%로 가장 많았다. 고령 부부가 함께 농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경영 형태별로는 논벼(37.4%), 채소·산나물(22.4%), 과수(17.1%) 순이었다. 시도별로는 논벼는 전남(17.5%), 채소·산나물은 경남(15.7%), 과수는 경북(30.0%)에서 각각 가장 많았다.농축산물 판매금액이 1억 원 이상인 농가는 전체의 4.2%로 전년과 동일했다. 반면 1000만 원 미만 농가는 64.3%로 0.2%포인트(p) 줄었다.어가는 전남이 1만6000가구로 전체의 38.2%를 차지했고, 경남(7000가구), 충남(6000가구)이 뒤를 이었다. 경영 형태별로는 어로어업이 3만 가구(72.4%), 양식업이 1만1000가구(27.6%)였다. 어로어업은 1.2%p 줄고, 양식업은 1.2%p 늘었다.임가 규모는 경북이 1만9500가구(19.9%)로 가장 많았고, 경남(1만5600가구), 전남(1만4700가구)이 뒤를 이었다. 주요 재배 품목은 산나물(3만4000가구), 떫은감(2만6000가구), 관상작물(1만5000가구) 순이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