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내륙과 동해안 일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수많은 주민들이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잃고 이재민으로 전락했다. 이번 산불은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으며, 강풍과 건조한 날씨 속에 산림은 물론 주택과 축사, 가축, 과수, 농기계 등 주요 기반시설까지 순식간에 초토화됐다. 마을 전체가 재난의 현장이 되었고, 주민들은 체육관, 마을회관 등 열악한 임시 거처에서 하루하루를 견뎌야 했다.다행히 지난 11일부터 이재민들은 경로당, 노인정, 지역 모텔 등 보다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으로 일부 옮겨가고 있다. 이는 응급 대피소에서 생활 안정 단계로 전환되는 긍정적 신호지만, 그것이 곧 회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시적 숙소는 마련됐을지언정, 이재민들의 삶의 터전과 생계 기반은 여전히 잿더미 위에 남아 있다.정부는 즉각 재난지역 선포와 함께 예비비 투입, 임시 조립식 주택 공급, 생계비 지원 등 긴급 조치에 착수했다. 특히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재민들이 산불 피해지를 떠나 타지로 이주할 것을 우려하며, 신속한 주거 마련과 정착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동체가 해체되지 않고, 삶의 연속성이 보장돼야 진정한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산불 피해는 단기간의 대응으로 회복되기 어렵다. 특히 피해 지역 다수 주민들은 농업과 축산업에 의존한 생계를 꾸려온 만큼, 단순한 주택 복구를 넘어 시설 복구, 소득 회복, 보험 보상 등의 중장기 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더불어 이번 경북 북부권 산불은 사람들의 부주의가 불러온 재난인 만큼 우리 사회 전체에 뼈아픈 교훈을 안겨주고 있다. 봄철 건조기 지역민 및 방문객들의 주의, 예방 중심의 체계적인 산림관리와 감시 시스템은 구축 등이 필요하다. 이제는 산불 위험 예측과 초대형헬기 등 항공 방제 장비 마련 등 국가적 대비책 마련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재민의 존엄성 회복이다. 집을 잃은 고통은 단순한 경제적 손실을 넘어, 공동체 붕괴와 심리적 충격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는 단지 물질적 보상에 그치지 말고, 심리 회복 지원과 지역 공동체 재건을 포함한 통합적 복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의성과 안동, 청송과 영양, 그리고 영덕까지. 화마가 지나간 마을은 아직도 검게 그을린 채로 남아 있다. 이재민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국가와 지자체, 지역사회, 이웃들이 힘을 모은다면 잿더미 위에서도 이전과 다른 새로운 삶을 꽃 피워갈 수 있을 것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