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강경파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 분위기에 강의를 듣고 싶은 학생들도 비난을 우려해 수업 참여를 꺼리고 있다. 40개 의과대학 학생들이 `전원 복귀`를 선택했으나, 4% 정도의 학생들만이 수업을 듣는 등 의대 교육 정상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전망도 나온다.3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이 지난 2일까지 15개 의대를 대상으로 수강률을 집계한 결과, 응답자 6571명 중 수업을 듣는 학생은 254명(3.87%)이었다. 가장 수강률이 높은 울산대도 수업을 듣는 학생은 274명 중 26명(9.49%)으로 10%에 미치지 못하는 참여도를 기록했다. 40개 의대 소속 학생들이 복귀를 결정해도 의대협 등이 `등록 후 수업 거부`로 힘을 모으자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이 쉽사리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다. 단일대오 이탈 시 "기회주의자" 같은 비난이 쏟아지고,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올라갈 수 있기 때문이다.실제로 앞서 건국대에선 의대 본과 2학년과 3학년 학생 6명이 학교에 휴학계를 제출하지 않고 수업에 복귀하려 하자 동급생들이 입장문을 통해 이들을 비난했다. 입장문은 건국대 의대생들이 이용하는 단체 대화방에서 공유된 것으로 알려졌다.일부 대학은 집단 강요를 막기 위해 온라인 수업 등으로 다른 학생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 하려 했지만 현재까지 많은 학생들의 복귀를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지난달 31일 온라인 수업을 시작한 서울대도 참여율이 미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24학번 의대생 자녀를 둔 A씨는 "선배가 무서워 온라인 수업도 못 듣는 상황"이라며 "제발 아이가 학교 좀 다니게 해 달라"고 호소했다.문제는 이 같은 교착 상태가 더 길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의대협이 "협회의 방향성이 `투쟁`으로 수렴됐다"며 "각 학교에서 대의원의 안내를 잘 따라달라"며 회원들에게 지침을 내렸기 때문이다. 수업 거부를 공식화한 것이라, 학생들에겐 더 부담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탄핵심판 등 급변하는 정치적 상황도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만일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인용되고, 정권이 교체된다면 새 정부에서 의대 정원, 필수의료패키지 같은 쟁점들을 다시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커뮤니티에서도 "탄핵 인용이면 정부가 식물 상태가 되는데, 등록을 취소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글이 올라왔다.한편 교육부는 전날 각 대학에 "어렵게 용기를 내 복귀하거나 복귀를 희망하는 학생들에 대한 피해 사례를 인지할 경우 학칙에 따라 신속히 사실관계를 조사하고, 결과에 따라 책임소재를 명확히 해 엄정하게 조치하길 바란다"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