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87일만의 직무 복귀한 한덕수 국무총리가 국무회의를 마치고 의성 산불 현장을 찾았다. 고군 분투하고 있는 소방대원과 절망에 빠진 이재민들을 위로하기 위함이다. 나흘째 계속되고 있는 의성 산불은 오전 11시와 오후 2시 14.1km 떨어진 각기 다른 장소에서 발화, 안동과 청송에 이어 영양, 영덕까지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화마가 지역 문화재까지 위협하고 있는 가운데 안동시와 의성군 접경에 있는 유명 사찰 고운사가 전소됐다. 다행히 사찰에 있는 국가유산, 보물 등 문화재는 전소 직전 모두 옮겨졌다.주민들은 집이 강력한 화염 속 불타고 있어도 대응할 별다른 방법을 찾을 길 없어 망연자실 울먹일 수밖에 없다. 이철우 지사는 산불 초기 대응을 위해서는 많은 물을 옮길 대형 헬기와 수송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나, 산림청이 보유한 헬기 50대 중 대형 헬기는 7대, 가동할 수 있는 것은 35대에 불과했다. 나머지 15대의 헬기는 정비 문제로 가동조차 할 수 없는 상태다. 이번 산불 진화에 난항을 겪는 데는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소나무 중심의 수종과 험준한 산악이란 지형적인 문제도 크게 작용했다. 이러한 상황을 대비한 정부 예비비 부족도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지난해 12월 예산안을 단독 처리하면서 예비비를 절반으로 삭감했기 때문이다. 진화와 복구, 피해 지원을 위해선 시급히 국회가 추경 마련에 나서야 한다. 최악의 동시 다발 산불에 대한 수사기관의 수사도 뒷받침돼야 한다. 3월 21일 6건, 22일 29건, 23일 19건 등 전국 동시 다발, 시간 차를 두고 연쇄적으로 발생한 것에 대해 철저히 수사에 나서야 한다.    챗GPT 구동 결과, 자연 발생 산불로 볼 확률은 `0`에 가까우며, 인위적이고 의도적 방화 가능성을 높게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연적 원인이거나 실수에 의한 것이라기보다 인간 개입, 의도적 방화 가능성을 높게 판단하고 있다.  국무총리(24일)와 대통령(28일 예정) 탄핵심판 결과가 나올 시점, 국가 혼란을 초래하려는 세력이 낸 산불이라면 반국가세력으로 엄히 처벌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부는 이 지사의 지적처럼 산불이 확산되기 전 초기 진화할 수 있도록 대형헬기와 수송기 등 첨단 진화 장비 마련과 대책 마련에 더욱 힘써주길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