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밖으로 나오지 않는 고립·은둔청소년 대다수가 친구 등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밖으로 나온 이후에도 40% 가까이는 재고립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여성가족부는 25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지난해 1~10월 실시한 고립·은둔청소년 실태조사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9~24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링크(URL, QR코드)를 통한 자기응답식으로 이뤄졌다. 전국 규모로는 첫 조사다.1차 조사 결과 응답을 완료한 1만9160명 중 5484명이 고립 은둔 판별 대상자로 선정돼 2차(본조사) 대상이 됐으며 이 중 2139명이 최종 응답했다. 1차 조사에서 `방에서도 안 나온다`라고 응답한 초고위험군은 395명으로 응답자의 2.1%를 차지했다. 2차 조사에 응답한 2139명 중 고립·은둔 청소년 성별은 남자 29.9%, 여자 70.1%, 연령별로는 19~24세 50.4%, 13~18세 45.2%, 9~12세 4.5%의 분포로 나타났다. 또 72.3%가 18세 이하에 고립·은둔을 시작했다고 답했다.고립·은둔 이유로 친구 등 대인관계 어려움 65.5%, 공부·학업 관련 어려움 48.1%, 진로·직업 관련 어려움 36.8%, 가족 관련 어려움 34.3% 순으로 (복수) 응답했다. 19~24세의 경우 `진로·직업 관련 어려움` 비율이 47.2%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고립·은둔 기간은 2년 이상∼3년 미만이 17.1%로 가장 많았으며 1년 이상∼2년 미만 16.7%, 6개월 이상∼1년 미만 16.6%, 3년 이상 15.4% 순이다.   특히 40%에 가까운 청소년이 재고립·은둔을 경험했다. 재고립·은둔 이유는 `힘들고 지쳐서` 30.7%, `고립·은둔하게 된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 20.9%, `돈이나 시간 등이 부족해서` 17.4%로 주된 이유이었다. 그 밖에 `고립·은둔 생활을 벗어나는 데 효과가 없어서` 12.6%, `의논하거나 의지할 사람이 없어서` 9.0% 등 응답이 있었다.고립·은둔 기간 동안 주로 한 활동은 유튜브, 넷플릭스 등 OTT 서비스 시청이 59.5%로 가장 많았다. 이들이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경우는 25.5%에 불과하며 밤낮이 바뀐 생활을 한다고 응답한 비율도 절반이 넘는 56.7%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자신의 신체건강이 안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48.9%, 정신건강이 안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60.6%로 높게 나타났다.이들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은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걱정됨`이 68.8%로 가장 높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음`이 63.1%, `절망적인 기분이 들 때가 있음`이 59.5% 순으로 나타났다.특히 `죽고 싶다고 생각한 적 있었음`이 62.5%로 높게 나타났으며 19.4%가 `없었다`, 18.1%는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다.하지만 청소년의 고립·은둔생활에 대한 가족의 인식은 고립·은둔생활을 하는지 모르거나(29.6%), 고립·은둔생활을 크게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거나(27.2%) 관심이 없는 경우(9.4%) 등 인식도가 낮은 경우가 66.2%를 차지했다.청소년도 `스스로는 고립·은둔이라고 생각하지 않음`이 17.8%, `고립·은둔하고 있지만 큰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음`이 23.7%, `별로 생각해 본 적이 없음`이 8.5%로 고립·은둔에 대해 크게 인식하지 않고 있는 경우가 약 50.0%를 차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