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박세명기자]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24일 의성군과 울주군, 경남 하동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지난 22일 경남 산청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데 이어 3개 지역을 추가한 것이다.이번 조치는 대규모 산림 소실과 이재민 발생 등 피해 규모가 커짐에 따라 정부 차원의 신속한 수습과 피해자 지원을 위해 실시했다.의성 산불과 관련,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23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의성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 건의와 산불 진화 수송기 등 전면적인 선진형 장비 체계 도입을 요청한 바 있다.산불 진화 장비와 관련해 이 지사는 “지역에서 요청해 장비를 많이 보내줬는데 규모가 너무 작다. 군에서 헬기 13대를 보내줬는데 물을 800리터 실어 와서는 불을 끄기엔 부족하다”며, “불이 났을 때 초반에 2만~3만 리터 이상 담는 수송기를 동원해야 진화할 수 있다. 불이 커지고 난 다음 적은 용량으로 끄려고 하면 더 번지고 끄기 힘들다. 기재부는 반드시 예산을 지원해 대형 수송기 도입 등 선진화 장비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문제는 산불이 강풍을 타고 계속해서 재발화하면서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의성 산불 사흘째인 24일 산림 당국이 가용 장비와 인력을 투입해 대응에 나섰으나 강풍으로 인해 주불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의성 산불은 24일 낮 순간 풍속 15m/s의 강풍을 타고 동쪽인 안동시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에 안동시는 길안면 현하리 주민들을 대상으로 마을회관 등 안전시설로 대피해 줄 것을 당부했다.강풍에 산불이 급속히 번지면서 의성군 안평면사무소에 위치했던 산불지휘본부도 안전한 곳으로 철수를 서두르고 있다. 이곳 진화지휘본부에는 산림, 소방, 경북도, 의성군, 보건, 기상청 등 산불진화에 필요한 행정인력이 집중돼 있다.
산림 당국은 이날 오전 산림청 전문 진화 헬기 등 57대와 장비 425대, 특수진화대 등 2725명을 투입해 산불 진화에 나섰다. 일몰 후 산림 당국은 야간 진화 체제로 전환해 특수진화대와 지자체 산불 전문진화대 등을 투입, 방화선을 구축하고 진화에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