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세명기자]지난 22일 오전 의성군 안평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6~7개 읍면 단위로 확산되면서 23일 현재 의성군 전체가 산불 영향지역이라고 봐도 무방하다.이날 의성 산불 피해지역으로 가는 길은 연기가 자욱해 태양도 잘 보이지 않았으며, 지나는 차량 내부로도 매캐한 연기가 들어와 마스크를 끼지 않고는 숨쉬기도 곤란했다.안평면으로 들어가는 도로 옆으로 지난밤 다 타지 못한 잔불들이 곳곳에 흩어져 있었으며, 시커먼 재들을 뒤집어 보면 숯이 된 잔불들이 벌겋게 일어났다.안평면을 지나 안계면, 점곡면으로 들어서면 360도 불타는 산을 볼 수 있었고 그곳을 지나 의성읍으로 들어섰을 때는 도시 전체가 연기에 뒤덮여 시야가 제대로 나오지 않았다.의성군민 운동장과 의성체육관에 도착했을 때는 자원봉사자들의 식사 준비와 구호 물품 상·하차가 한창이었으며, 의성군민 운동장에는 소방차 50여 대와 진화 헬기 8대가 쉴 새 없이 번갈아 가며 이착륙과 재정비를 하고 있었다.의성체육관에는 임시대피 텐트와 밤늦게 요양병원에서 대피한 어르신들이 빼곡하게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곳 대피소에는 산불 피해자들과 자원봉사자 등 500여 명이 들어앉아 구호물품을 나누고 식사를 챙겨주느라 분주했다.요양병원에서 대피한 90대 A할머니는 "90년 넘게 살면서 이런 불지옥은 처음 본다"며 "밤에 하늘이 붉게 물들어 있는 게 너무 무서웠다"고 말했다.의성읍 산 아래 집이 있어 대피하게 된 15살 B양은 "너무 갑작스레 불이 번져 몸만 빠져나왔다"며 "내일 학교도 가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면서 걱정했다.또 인근에서 농장을 운영하는 60대 C씨는 "집은 불에 탔지만, 다행히 소방대원들 덕분에 축사에 있는 소들을 살렸다"면서 "TV에서나 보던 이런 재난을 내가 겪을 줄은 상상도 못 했다"고 말했다.이들 대부분 야산과 인접한 지역에서 대피해 왔으며, 자기 집이 어떻게 됐는지 아직 모르는 어르신들도 많았다.경북교육청 관계자는 "의성지역 산불 피해 가정 학생들이 60여 명 정도 되는 것으로 지금 파악하고 있다"며 "평일 등교 여부와 지원 방안들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이번 산불의 원인으로 지목된 실화한 성묘객에 대해서 의성군 관계자는 "아직은 산불의 진화가 더 중요해 의성군 공무원 대부분이 현장에 투입돼 사투를 벌이고 있다"며 "진화가 끝난 후 의성군 특별사법경찰관이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에서 발생한 산불이 23일 오후 4시 현재 59%의 진화율을 보이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소방당국은 산불현장에 산불 진화헬기 52대, 진화 인력 3777명, 진화 차량 453대를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산불 영향구역은 축구장 4915개 규모인 3510ha(추정)이며 총 화선은 68km로 47.6km를 진화중이고 20.4km는 진화가 완료됐다.현재 산불 현장에는 습도 24%, 최대 풍속 초속 2m의 바람이 불고 있다. 앞서 오전 9시에는 최대 풍속 초혹 5m의 바람이 불어 진화에 난항을 겪었다.마을 인근 주민 150명이 안동 도립요양병원으로, 161명은 의성읍 실내체육관으로 대피하는 등 392명이 대피를 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