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지난해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이혼 증가율이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한국 남성과의 결혼으로 국적을 취득하고, 이혼 후 베트남 남성과 재혼하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추정돼, `국적 취득용 위장 결혼` 증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한국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이혼건수는 4218건으로 전년(4175건) 대비 1.8% 증가했다.그중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이혼 건수는 1215건으로 전년(1122건)보다 8.3% 크게 늘었다.증가율 8.3%는 2011년(24.4%)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다.한국 남성의 베트남 여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가운데, 이들이 결혼으로 한국 국적을 취득한 후 이혼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외국인이 한국인 배우자와 혼인한 상태로 한국에 2년 이상 주소가 있거나, 혼인한 후 3년이 지나고 한국에 1년 이상 주소가 있으면 한국 국적을 취득할 수 있다.실제 베트남은 최근 10년간 한국 남성이 가장 많이 결혼하는 외국 여성의 국가다. 지난 2015년부터 중국을 제치고 매년 국제결혼 1위를 기록했다.이같은 추세는 최근 더 도드라졌다. 지난해 베트남 여성과의 혼인건수는 5017건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했다. 전체 외국인 여성과의 혼인건수(1만5624건)의 32.1%에 달한다.   베트남 여성이 한국 국적을 취득한 후, 다시 베트남 남성과 결혼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지난해 한국인 아내와 베트남 남성의 혼인건수는 총 771건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했다. 혼인건수가 소폭 줄어들긴 했지만, 중국(905건)에 이은 2위다.혼인 종류별로 보면, 재혼이 728건으로 전체의 94.4%를 차지했다. 반면 초혼은 43건에 불과하다. 다만 재혼건수 자체는 전년 대비 3.2% 줄었다.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재혼건수가 주춤했지만, 2022년(전년 대비 32.4% 증가), 2023년(35.3% 증가) 증가분이 커서 기저효과가 있었다"며 "한국 여성과 베트남 남성의 재혼건수는 꾸준한 상승세"라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인으로 귀화한 베트남 여성이 (베트남 남성과 재혼하는 경우가) 좀 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분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