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부동산 자산가 `상위 1%`를 규정하는 기준금액이 최근 5년 만에 5억원 이상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중위 가구는 2천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부동산 자산 상위 1% 가구의 기준선은 30억원이다. 최소 30억원 이상 부동산을 소유해야 상위 1%에 들어간다는 뜻이다.지난해 상위 1% 기준선은 5년 전인 2019년(24억6천만원) 대비 약 5억4천만원 상승한 수치다.상위 5%의 기준선은 2019년 11억2천만원에서 2024년 14억1천만원으로 2억9천만원 상승했다. 같은기간 상위 10%는 7억5천만원에서 9억5천만원으로 2억원 올랐다.상위권과 달리 전체의 가운데인 중위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2019년 1억6천만원에서 2021년 1억8천만원으로 2천만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가 컸다.지난해 자산 최상위권인 `5분위`가 보유한 부동산 평균 금액은 수도권 13억6544만원, 비수도권 10억7211만원으로 집계됐다. 약 3억원 차이다.수도권 자산 5분위의 부동산 평균 금액은 2019년 10억5477만원에서 지난해 13억6544만원으로 3억1067만원 증가했다.같은기간 비수도권 자산 5분위는 2019년 8억6235만원에서 지난해 10억7211만원으로 2억976만원 늘었다.이외에 부동산 양극화 심화가 순자산으로 이어진 경향도 파악된다.순자산 10분위(상위 10%)의 평균 순자산은 2019년 15억3천만원에서 지난해 20억원으로 약 4억7천만원가량 늘었다. 9분위도 순자산이 6억4천만원에서 8억4천만원으로 약 2억원 증가했다.반면 1분위(하위 10%)의 순자산은 2019년에서 지난해로 넘어오면서 감소했다. 2∼8분위 가구의 순자산 점유율도 대부분 줄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