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지난해 `불법대부` 관련 피해 신고가 전년 대비 14%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를 통해 총 6만3187건의 피해 신고 및 상담을 접수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전년(6만3283건)과 유사한 수준이다.이 중 피해 신고는 1만5397건으로 전년 대비 12.0% 증가했고, 단순문의 상담은 4만7790건으로 전년보다 3.5%가량 감소했다.특히 불법 대부업 및 불법 채권추심 관련 피해 신고는 1만4786건으로, 전년 대비 14.8% 증가했다.그간 금감원은 `불법사금융 척결 범정부 TF`를 중심으로 관련 조치를 진행해 왔다.우선 불법사금융 피해가 우려되는 `불법광고`에 대해 전화번호 이용 중지 (5573건) 및 온라인 게시물 삭제(1만9870건)를 관계기관에 의뢰했다.또 불법사금융 피해 신고 중 혐의가 구체적이고 피해자가 처벌을 희망하는 498건을 수사 의뢰하기도 했다.아울러 불법채권추심 중단 등 구제가 필요한 3001건에 대해 `채무자 대리인 무료 지원제도`를 안내해 피해구제를 지원했다.금융당국은 불법사금융 유통경로인 온라인 불법광고 근절을 추진하고, 범죄수단으로 이용되는 대포폰 차단 절차를 신속하게 마련하겠다고 밝혔다.또 보다 많은 피해자가 신속하게 보호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채무자 대리인 무료 지원 제도` 신청 창구 확대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했다.아울러 불법사금융 구제 제도를 몰라 이용하지 못하는 국민이 없도록 맞춤형 홍보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불법사금융은 서민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범죄로, 피해를 봤거나 우려되는 경우 즉시 신고해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