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시는 지난 14일 전남 한우 사육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위기단계를 ‘주의’로 상향하고, 구제역 방역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는 등 비상방역 체계에 돌입했다. 구제역 전파방지를 위해 당초 4월 1일부터 예정됐던 소·염소 상반기 백신 일제접종을 지난 14~22일(소 50마리 미만 농장은 31일)까지 앞당겨 추진 중에 있다.접종 대상은 지역 소·염소농장 902호에서 사육 중인 2만7207마리다. 효과적인 백신접종을 위해 소 50마리 이상, 염소 300마리 이상 사육농가는 지난 14일~22일까지 자가 접종을 실시하고, 소규모 농장의 경우 접종지원반을 통해 이달 말까지 접종을 완료할 예정이다.
돼지 사육농가의 경우 사육 기간이 6개월로 비교적 짧기 때문에 양돈 농가에선 기존 방식대로 분만 주기 등 농가별 사양 프로그램에 맞춰 연중 백신을 접종하면 된다. 아울러, 백신 접종 여부 확인을 위해 백신 접종 후 항체 양성률 모니터링 검사를 실시해 항체 양성률이 소 80%, 염소 60% 미만인 부적합 농가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행정처분을 실시할 방침이다.박기환 경제국장은 “백신 접종 후 부스팅 효과는 7일 정도 경과돼야 함에 따라, 신속한 백신 접종이 차단방역의 핵심이다”며 “축산농가는 경각심을 갖고 빠짐없이 백신접종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