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을 종결한 지 20일이 넘도록 장고를 이어가고 있다. 이르면 20~21일 선고가 유력하게 거론되지만, 4월 선고설까지 추측이 난무하면서 혼란을 막기 위해 헌재가 선고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17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법재판관들은 이날도 평의를 이어가고 있다. 법조계에선 오는 20~21일 선고 가능성을 전망하고 있다. 이날 기준 윤 대통령 탄핵 사건은 93일을 넘기면서 박근혜 전 대통령 91일, 노무현 전 대통령 63일을 넘어서 최장 기록을 세우고 있다. 법조계 관측대로 20~21일 선고가 나온다면 탄핵 96~97일 만이다.앞서 헌재가 18일 전까지 일정을 비워두면서 그전까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나올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이전 대통령들의 탄핵심판 선고가 변론 종결 후 11~14일 뒤에 나왔고, 통상 금요일에 선고했다는 점을 감안해 14일이 유력하게 거론됐다.하지만 이날까지도 선고기일이 지정되지 않으면서 해석만 분분한 상황이다. 법조계에선 재판관들이 만장일치 결론을 내기 위해 이견을 좁히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치권에선 의견이 모이지 않을 경우 4월까지 선고가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특히 선고가 이번주를 넘길 경우 오는 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선거법 2심 선고가 먼저 나올 가능성에 정치권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권에선 이 대표 선거법 2심 선고가 먼저 나와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야권은 탄핵심판 선고를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다.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선고기일도 변수다. 헌재는 지난달 19일 한 총리 탄핵심판 변론을 종결한 뒤 한 달 가까이 지나도록 선고기일을 지정하지 않고 있다. 평의가 길어진 이유를 납득시키기 위해 한 총리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한 번에 할 가능성도 거론된다.탄핵 찬·반 집회가 갈수록 격화되면서 헌재가 빠른 선고를 통해 혼란을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주말인 15일에만 경찰 비공식 추산 탄핵 촉구 집회에 5만여 명, 탄핵 반대 집회에 3만 5000여 명이 몰렸다. 헌재 앞에서 집회가 계속되면서 헌재 직원들과 인근 주민들의 불편함도 계속되고 있다.헌재 평의가 길어지면서 졸속 논란을 털고 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지만, 일각에선 차라리 변론 기회를 더 줬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주 2회 변론 기일을 지정하며 심리에 속도를 냈던 헌재가 선고를 서두르지 않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한 법조계 관계자는 "이렇게 선고가 늦어질 거였으면 피청구인 측이 요구했던 대로 충분히 발언 기회를 줬어도 되지 않았나 싶다"며 "비판은 비판대로 받고 선고가 늦어지니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변론 기간만 따지면 윤 대통령은 총 42일 동안 11차례 변론기일을 진행해 박 전 대통령(55일간 17차례)보다 기간이나 횟수가 짧다. 노 전 대통령은 31일 동안 7차례 변론기일을 진행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