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의 파산이 우려된다’는 걱정스러운 농심(農心)은 어제 오늘일은 아니지만 이 문제가 급기야 현실로 눈앞에 다가와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억장이 무너지는 축산농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축산농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대안이 아니라 애매한 대책으로 일관하고 있어 축산농들의 고통의 목소리만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들이다. 사료 값은 천정부지로 치솟는데 한우 값은 한없이 떨어지기만 하고 있어 불원간 파산 축산농들이 늘어날 것이라는 걱정들이다. 한우를 팔아도 손해라는 것을 알고 송아지 구입은 생각조차 하지 않고 축산경영 의욕마저 상실한 상태다. 사료 값은 25kg 짜리 한 부대는 6,000원에서 1만2,000원으로 두배까지 뛰어 올랐다. 쇠고기 값은 오히려 1kg당 2만원에서 1만4,000원으로 대폭 떨어졌다. 육우사육을 위해 송아지를 150~200만원에 구입해 사료 값 400만원을 들여 사육 후 2등급 이하가 나오면 손해를 볼수 밖에 없는 이런 사실을 알고는 축산업을 계속 하기 어렵다는 축산농가의 원성 속의 지적이고 보면 누가 축산업을 계속하겠느냐는 반문들이다. 치솟는 사료 값을 감당하기 어려운 사정에 최근 한우 600kg 두당 700만원 하던 것이 200만원 상당이 하락한 500만원으로 거래되고 있는 실정에 축산농들의 한숨만 깊어지고 축산농들의 파산은 시간문제로 오는 상반기 중에는 속출 할 것이라는 걱정들이다. 일부 축산농들은 한우를 유통시켜도 제값을 받지 못할 바에는 실비로 도촉 친인척과 지인들 끼리 나눠먹는 사례가 비일 비제하다는 전언들이다. 축산농가 관련 최근 영남지역에서는 사료자금 대출금 상환 일을 앞두고 고민 끝에 대출금 상환 책으로 업종을 바꿔 부업을 선택하는 등 동분서주 하고 있으나 마땅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전전긍긍하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반복되는 사료 값 상승에 한우값 하락에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도 나름대로 축산농을 천직으로 감내 해왔지만 지난 2008년 풀린 사료구매 자금 상환일이 돌아오자 축산농의 부담은 점차 가중되고 있다. 상환일이 집중되는 하반기부터는 영세축산농들부터 파산이 속출될 것이라는 우려들이다. 상환해야 할 사료구매 자금은 2008년 이후 풀린 금액이 5,636억원 상당으로 축산농을 압박하고 있다. 농업경제 연구소에 따르면 2011년 11월 배합사료 평균가격은 1kg 4,328원으로 1년 전 보다 16.8% 상당 상승했다고 평가 하고 불투명한 국제곡물가격 상승과 정부의 고환율 정책의 영향으로 수입 원자재까지 올라 배합사료 값 상승폭은 더욱 커졌다는 지적이다. 한우 사육에 보조 사료로 쓰이는 볏짚가격도 450kg당 4만5,000원대에서 24.4% 상승된 5만6,000원으로 대폭 올랐다. 축산전문연구 기관에서 보는 축산농 경영 개선책으로는 정부가 내놓은 소비촉진,유통단계 축소 등의 정책과 비육우 사육 농가를 위한 획기적인 경영개선책이 따라야한다는 지적으로 50마리 이상 비육우 사육 축산 농가는 사료 값 감당이 어려워 송아지 구매를 줄였고 송아지 매입을 하지 않으니까 암소 사육 영세축산농의 경영 악화를 가중시키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최근 언론 매체에서 사료 값 때문에 굶어 죽어가는 축산농가 실태를 그대로 방영해 논란이 된바 있다. 사료구매 어려움으로 사육소가 굶주림에 축사바닥의 흙을 핥아 먹는 장면에서 영세축산농의 사료 값 상승으로 겪는 경영난을 실감하게 하고 있다. 국민들은 살아있는 동물을 아무리 어렵더라도 굶겨 죽이는 행위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해당 영세축산농들은 바로 오늘의 현실이라고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영세축산농에서 벌어지고 있는 굶어 죽는 소를 두고 책임 한계 까지 두고 비판적인 지적에 해당축산농가에서는 최선을 다했다지만 결국 벼랑 끝까지 내몰린 축산농들은 할 말을 잊고 있다. 이런 현실을 보고 있는 정부는 과연 어떤 농정 대책으로 임하고 있는지 의심스러운 비판을 받고 있다 소 값 폭락 과 사료 값 폭등에 대한 책임을 누구한테 전가 할 것인가? 아니면 정부는 책임 회피에만 급급할 것인가? 무슨 특별한 대안을 내 놓을 것인가? 이대로 간다면 축산농의 파산을 시작된다고 보면 된다. 지난날에도 소 값 폭락 사료 값 상승이란 악순환은 반복된 바 있다. 그렇지만 소가 굶어 죽어가는 사태는 이번이 처음인 것 같다. 축산농들이 참다못해 집단 상경이라는 아우성 속의 반발에 당국은 위법이란 으름장으로 맞서고 있다. 그저 미흡한 축산정책에 답답할 뿐이다. 축산정책의 실정도 있다. 적정 사육두수 유지의 실패는 지난해 304만 마리로 적정사육두수 270만 마리보다. 35만 마리가 과잉사육 상태에 수입육도 미국산의 경우 종전 보다 38,6%가 증가된 12만8,000톤으로 급증했다. 한미 FTA에 이어 앞으로 한중 FTA 까지 체결된다면 우리나라 농가 미치는 영향은 상상 할 수 없을 정도로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는 우려다. 정부는 분노하는 농심을 달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급변하는 국제사회의 농경추세에 대응하는 장기적인 농정 대안을 마련해 우리농가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영구적인 농가 경쟁력을 끌어 올리는 농정을 개발 대처하는 필수적인 개선책이 필요한 때이다. 이수한 본사 전무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