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군부대 이전지로 `군위군`이 최종 선정됐다. 지난 2022년 하반기부터 추진된 군부대 이전 사업이 3년 만에 결실을 맺은 것이다.대구시는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평가위원회’의 평가 결과에 따라 군위군을 군부대 통합 이전지로 최종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이번 결정에 따라 대구 도심에 위치한 5개 군부대는 오는 2030년까지 이전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전 대상 군부대는 육군 제2작전사령부(1.27km²), 제50사단 사령부(2.99km²), 제5군수지원사령부(0.75km²),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 및 방공포병학교(0.64km²) 등 5개 부대다.군부대 이전으로 개발 가능한 대구 도심 면적은 약 5.65km²(170만 평)에 달하며, 대구시는 이 부지를 주거·산업·교육·의료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신성장 경제 거점으로 개발할 계획이다.군위군은 이번 군부대 유치를 통해 인구 증가, 경제 활성화, 인프라 확충 등의 효과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대구시는 올해 안에 국방부에 합의각서를 제출하고, 국방부 검토와 기획재정부 승인을 거쳐 내년 상반기 중 합의각서를 체결할 방침이다.한편, 군위군과 함께 후보지로 선정되어 유치 경쟁을 벌였던 영천시와 상주시의 반발을 무마하는 것도 대구시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이들 지자체는 “군부대 선정 과정이 이미 내정된 것이나 다름없었으며, 우리는 들러리에 불과했다”라며 정보공개 청구 및 감사 청구를 추진할 뜻을 밝혔다. 특히, 군부대 이전 평가를 담당한 기관이 대구시 출연 기관인 ‘대구정책연구원’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군부대 이전을 둘러싼 공정성 논란은 이미 지난해 9월 칠곡군의 유치 자진 철회 과정에서도 불거졌다. 김재욱 칠곡군수가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던 군부대 유치를 갑작스럽게 철회한 배경에는 계획에 없던 공용화기 사격장 추가 문제와 특정인의 정치적 목적에 활용될 가능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군부대는 일반적으로 기피시설로 분류되지만, 이를 자발적으로 유치한 지자체들의 입장은 지역의 절박한 현실을 반영한 결정이었다. 이러한 중대한 결정을 내린 지역과 주민들의 상실감은 결코 가벼운 것이 아니다.지자체들이 계획했던 개발 전략이 무산되면서 발생한 경제적 손실과 탈락에 따른 주민들의 행정 불신 및 실망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개발 이익을 누릴 대구시의 적절한 보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