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올해 1월 기준 일제강점기 국외 강제 동원 피해 생존자가 640명으로 확인됐다고 3일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이 밝혔다.모임은 최근 행정안전부에 `올해 국외 강제 동원 피해 생존자 의료지원금 지급 현황`에 대한 정보공개를 청구했다며 이같이 전했다.정부는 `대일항쟁기 강제 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 동원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국외 강제 동원 피해자 중 생존자에게 지난 2009년부터 매년 80만 원의 의료지원비를 지급하고 있다.올해 1월 기준 의료지원금 수급자는 국내 640명으로서 이 중 남성은 574명, 여성은 66명이었다.의료지원금 수급자 현황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1년 2만365명이던 생존자가 2012년 1만7042명으로 줄었고, 2015년엔 9938명으로 1만명 미만이 됐다.매년 꾸준히 감소하던 수급자는 지난해 904명으로 1000명 선이 무너졌고, 올해 1월엔 640명이었다.시도별로는 경기도 119명, 서울·전북 70명, 충남 59명, 경남 56명, 전남 55명, 경북 48명, 부산 30명, 인천 25명, 충북 23명, 광주 22명, 강원 21명, 대구 20명, 대전 14명, 세종·울산 3명 등으로 집계됐다.이 가운데 여성 생존자는 지난해 83명에서 올해 17명으로 줄었다. 제주도와 세종시엔 여성 생존자가 없다.시민모임 관계자는 "일제로부터 광복 80년을 맞은 것을 감안하면 피해 생존자가 급감하는 건 예상됐던 것"이라며 "현재 생존자라고 하더라도 100세 안팎에 이르러 향후 몇 년 안에 피해자가 단 1명도 남아 있지 않은 상황을 맞을 것"이라고 전했다.이 관계자는 "일본의 역사 부정과 왜곡이 날로 노골화하고 있다"며 "정부 및 지자체 차원의 강제 동원 피해 조사 작업, 기록물 수집, 역사관 건립, 추모 공간 조성 등 역사적 진실이 다음 세대에 전승하기 위한 다각적 계승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