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가계 소비가 얼어붙으며 자영업자 10명 중 7명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매출 감소율은 약 13%로 10명 중 4명은 3년 내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영업자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25일 밝혔다.소비 진작 및 대출 상환 유예 등 정부의 지원이 시급하다는 해석이 나온다.먼저 자영업자 72.6%는 2024년 매출이 2023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평균 감소 폭은 12.8%다.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응답도 72.0%를 차지했고 평균 감소 폭은 13.3%로 집계됐다.자영업자들은 올해도 경영악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 매출과 순이익이 2024년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한 자영업자는 각각 61.2%, 62.2%였다. 자영업자들이 예상한 매출과 순이익 평균 감소 폭은 6.5%, 7.2%다.자영업자들에게 가장 큰 부담이 되는 경영비용은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 상환 원리금(14.2%) 순으로 나타났다.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2024년 기준 1억 2000만 원이다. 월 이자 부담액은 84만 3000원으로, 연평균 8.4%의 이자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가 4.7%, 소액 대출 금리가 6.9%인 점을 감안할 때, 상당수 자영업자가 은행 대출 이외에 제2금융권 등에서 대출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자영업자 43.6%는 3년 이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 사정 악화 및 대출 상환 부담(18.1%) △임차료, 인건비 등 상승(11.9%) △원재료 가격 상승(11.9%) 등을 꼽았다.올해 예상되는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34.9%)이 가장 많았다. 정부 지원 대책으로는 대출 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 확대(22.1%)와 소비 촉진 방안 확대(20.9%)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