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관련 최종 변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특검법 공세를 재개하고 있다. 야당은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등 주요 국면에서 특검법을 발의하며 여권의 분열을 노려왔는데, 탄핵 절차 막바지에서 내분을 다시 한번 추동해 보겠다는 계산이다.다만 여권 내에서는 야당의 특검 공세에 대한 `학습효과`가 생겼다며 특검법 부결을 낙관하는 기류다.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1일 `김건희 특검법`(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의 주가조작 사건 등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수사요구안)을 발의했다. 야당이 발의한 네 번째 김건희 특검법이다.야당은 이날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1소위에서 `명태균 특검법`(명태균과 관련한 불법 선거개입 및 국정농단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도 상정했다. 의결에 앞선 이날 오후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가 홍준표 대구시장의 2021년 국민의힘 복당 과정에 개입했다는 녹취를 공개하며 여권 압박을 이어나가기도 했다.지난 윤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야당은 쌍특검법(당시 내란특검법·김건희특검법)을 내세우며 여당을 흔들었다.여권에서는 이번 김건희·명태균 특검법 추진을 윤 대통령 탄핵 심판 막바지에 접어들며 지지층 결집 현상이 보이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영장 기각 무마 의혹이 불거지며 여당의 시선을 돌리기 위한 조치로 보고 있다.여당은 헌재의 탄핵심판 결정을 앞두고 이견 노출을 극심히 자제하는 분위기다. 지난 의원총회장과 국회 본회의장에서 서로의 발언을 녹취하고 해당 내용이 외부로 유출돼 갈등을 빚은 만큼, 의원총회 개최도 최소한으로 하는 분위기다.이 때문에 최근 의원총회에서도 정국 현안보다는 연금개혁 등 정책 설명이 주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다만 여당 내 잠재된 계파 갈등이 있어도, 야당의 특검법안 공세를 두고는 낙관하는 분위기다. 특검법의 골자가 지난 경선 과정을 샅샅이 살펴보겠다는 것인 만큼 이탈표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어서다.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렇게 말하면 안 되지만, 만약 탄핵이 인용되면 김 여사는 자연인이 된다. 김 여사를 야당이 굳이 더 건드릴 필요가 있느냐는 의견도 있다"며 "반복되는 특검 관련 의원들이 따로 공부한 내용도 있고, 특검을 받을 수 없다는 (내부) 공감대도 있는 상태"라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