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 폭탄으로 국내 산업 전반에 비상등(非常燈)이 켜져 기업과 산업계의 걱정과 우려가 더해가고 있다. 미국은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오는 4월부터 차등적인 상호관세(相互關稅)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무관세로 철강을 수출했던 한국은 별다른 상황 변화가 없을 경우 4월부터 25%의 철강 관세를 부과받게 된다. 철강뿐 아니라 반도체와 자동차 등 한국의 핵심 산업도 관세 부과 위협에 직면해 있다.   특히 가장 먼저 현실화하고 있는 철강 관세로 포스코가 있는 경북의 산업계는 초긴장 상태다. 이철우 도지사는 지난 12일 ‘기사회생 버스’를 타고 포항으로 달려가 지역 철강과 이차전지 기업 대표와 함께 범정부 차원의 특별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강력히 호소했다. 경북도는 철강 관련 전문 TF팀이나 관련 부서까지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 간 관세 문제에 지자체가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특히 철강과 배터리, 이차전지 등이 관세전쟁(關稅戰爭)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게 지자체와 지역 기업이 힘을 한데 모아 어려운 현실을 정부에 적극 호소(號召)하고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 지금 세계 각국은 미국의 관세 부과 한달 가량 남은 기일을 최대한 활용하려 총력전(總力戰)에 뛰어들고 있다. 일본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의 정상회담 이후 형성된 우호적(友好的)인 분위기를 바탕으로 미국에 일본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제외해 줄 것을 요청했다는 소식이다. 트럼프는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 관세 부과는 예외가 없다”고 했지만 호주에 대한 관세 면제를 고려하겠다는 뜻을 밝혀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오는 4월까지 숱하게 이어질 ‘상호관세 정상외교’ 대열에서 한국은 철저히 소외될 처지다. 대통령 직무정지 상황에 톱다운(top-down) 접근법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트럼프 1기 정부 당시 대통령 탄핵과 정권 교체의 어수선한 상황에서 미국의 통상 공세를 방어해낸 경험을 갖고 있다. 경제력은 그때보다 월등히 성장했고, 조선·방산·원전·반도체 등 협상 카드로 활용할 전략 산업 역량을 갖췄으며, 비관세장벽(非關稅障壁) 문제는 국내의 불필요한 규제를 혁신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로 삼을 수도 있다. 특히 지금 필요한 것은 위기(危機)를 기회(機會)로 바꿔내는 능력이다. 오는 4월까지 주어진 시간을 적극 활용해 협상 전략을 다듬고 선제적(先制的) 조치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제 정부와 정치권은 외교·경제·산업 분야의 지혜와 역량을 한데 모아 철강과 배터리, 이차전지 등이 관세전쟁(關稅戰爭)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특별대책을 강구해 주기를 우리 모두는 간절히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