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행정안전부는 산불 위험이 높은 봄이 다가옴에 따라 산불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19일 행안부에 따르면 최근 10년(2015~2024)간 산불은 한 해 평균 546건 발생했고, 평균 4002ha(헥타르)의 산림이 불에 타 소실됐다.연도별 산불 발생 건수는 큰 변화가 없지만, 산림 피해 면적은 2022년이 2만4797ha로 가장 컸고 2023년이 4992ha로 그 뒤를 이었다.2022년과 2023년에는 산림 피해 면적이 30ha 이상인 산불은 평균(6.4건)보다 2배 이상 증가했으며 피해 면적이 100ha 이상의 대형 산불도 평균(3.2건)보다 크게 늘었다.특히 지난 2022년 3월 울진·삼척에서 발생한 산불은 여의도 면적의 56배에 달하는 1만6302ha의 산림 피해와 함께 주택 332채가 불에 타 587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시기별로는 봄철인 3월과 4월에 전체 산불의 46%(251건)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산림 피해 면적은 전체의 86%(3424ha)에 달한다.원인별로는 입산자 실화가 171건(37%)으로 가장 많았고, 쓰레기 소각 68건(15%), 논·밭두렁 소각 60건(13%) 순으로 많았다.또 최근 10년간 산에 불을 낸 혐의로 검거된 사람은 총 2189명으로, 사소한 부주의나 실수로 인한 산불이라도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봄철 산불을 예방하려면 입산 시에는 성냥이나 라이터와 같은 화기 물질은 가져가지 않고, 야영과 취사는 허가된 구역에서만 해야 한다.또 산과 인접한 곳에서는 논‧밭두렁 태우기나 영농부산물·쓰레기를 무단으로 소각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화목보일러를 사용하고 남은 재(灰)는 물을 부어 불씨를 완전히 없앤 후 처리해야 한다.산불을 발견하면 신속하게 소방서(119), 경찰서(112), 지역 산림관서로 신고하고 사전 대피 안내가 있는 경우 관계 공무원과 경찰 등의 지시에 따라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황기연 예방정책국장은 "올해 초부터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산불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봄철 건조하고 강한 바람으로 산불 발생이 우려되는 만큼, 국민 여러분께서도 산불 예방에 많은 관심과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