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2024학년도에 이어 2025학년도 대학 입시에서도 교육대학(교대) 합격생의 13% 이상이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19일 종로학원이 분석한 2025학년도 전국 8개 교대(수치 비공개하는 대구교대·전주교대 제외) 정시 최초합격자 미등록 현황에 따르면 교대 미등록 인원은 190명으로, 전체 모집 인원의 13.5%에 달한다. 미등록 인원은 전년도(233명)보다 43명 줄었으나, 등록포기 비율은 13.1%에서 0.4%포인트(p) 증가했다. 교대 모집 정원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8개 교대 정시 모집인원은 전년도 1780명에서 1407명으로 373명(21%) 줄었다. 대표적으로 서울교대는 지난해 324명에서 올해 260명으로 64명(19.8%)이 감소했다. 경인교대는 340명에서 163명(47.9%)이 줄어든 177명으로 인원이 조정됐다. 학교별 등록포기 인원은 △서울교대 23명 △경인교대 39명 △광주교대 35명 △춘천교대 39명 △부산교대 19명 △공주교대 14명 △청주교대 9명 △진주교대 12명이었다. 지방권의 등록포기 비율은 오르고 수도권은 소폭 하락했다. 지방권 6개 교대 최초합격자의 등록포기 비율은 13.2%로 전년도 12.1%보다 1.1%p 상승했다. 등록포기 인원은 136명에서 127명으로 5.2% 줄었으나 정시모집인원이 1116명에서 970명으로 줄어 포기 비율이 올랐다. 서울·경인교대는 등록포기 비율이 14.2%로 전년보다 0.6%p 하락했다. 함께 조사된 초등교육과 등록포기 비율은 전년도(16.7%)보다 상승한 26.4%였다. 이화여대에선 정시 최초합격자의 25%인 4명이, 제주대에선 최초합격자의 26.8%인 15명이 진학을 포기했다. 포기 인원은 총 19명으로 전년도 12명보다 58.3% 증가했다. 한국교원대는 자료를 공개하지 않았다.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학령인구가 줄며 교대 모집 정원이 축소됐고, 교권 문제 등이 함께 터지 교대 비선호가 이어지고 있다"며 "교대 중복합격 시 일반대학으로 이탈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초등교육과는 오히려 등록포기 인원과 비율이 모두 상승하는 등 (수험생들의) 교대 선호도가 높아졌다고 볼 수 없는 상황"이라며 "올해도 수능 등급선이 4~5등급에서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