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해마다 자살사망자 수가 늘고 있는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자살시도자, 자살유족 등 고위험군을 돕는 `지방자치단체 자살고위험군 집중지원방안`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다.복지부는 박민수 제2차관은 11일 오전 17개 시·도 부단체장과 정신건강 담당자가 참석한 가운데 `자살예방사업 및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시·도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복지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자살시도자, 자살유족 등 고위험군을 지원하는 `지자체 자살고위험군 집중지원방안`을 마련, 시행하고 있다.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자살사망자 수는 2022년 1만2906명에서 2023년 1만3978명, 2024년(1~11월, 잠정치) 1만3271명으로 집계됐다.이와 관련해, 이번 지원 방안에는 자살시도자에 대한 사례관리 서비스를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특히 서비스를 거부하거나 연락이 두절된 대상자도 수시로 확인해 재유입을 유도하고, 청년층 자살시도자 치료비 지원대상도 확대할 계획이다.자살유족이 갑작스러운 충격으로부터 벗어나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자살유족 원스톱 지원서비스` 대상지역도 올해 전국 12개 시·도로 확대한다.복지부는 지난해 7월부터 우울·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국민에게 대화 기반의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지금까지 1291개소 서비스 제공기관과 5895명 서비스 제공인력(중복자격증 포함)이 등록됐고, 지난 3일까지 5만5053명이 서비스를 신청해 24만1524건의 심리상담이 제공됐다.복지부는 올해부터 서비스를 신청한 이후 서비스 유형(1급, 2급) 변경을 희망할 경우, 서비스 이용 전까지 주민등록상 거주지 보건소를 방문하면 변경 신청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또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등록기준 고시`를 개정해 서비스 제공공간 기준을 완화함으로써 사업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다.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지자체와 협력해 자살로부터 안전한 사회, 국민의 마음이 건강한 사회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