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전국 15개 공항 중 절반에 해당하는 7개 공항의 방위각 시설이 둔덕형이거나 `부러지기 어려운 구조`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상반기 내 둔덕을 제거하거나 성토를 통해 지하화 또는 완만한 지형이 되도록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내용의 `방위각시설 등 공항시설 안전 개선방안`을 22일 발표했다.개선방안은 전국 공항 특별 안전점검(2회)과 관계기관 및 전문가 회의를 거쳐 마련했다.특별 안전점검 결과 방위각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공항은 △무안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2개소) △제주국제공항 △광주공항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 △사천공항(2개소) 등 총 7개 공항, 9개 시설물이다.권고 수준(240m)으로 안전구역 확대가 필요한 공항은 △무안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 △사천공항 △울산공항 △원주공항 등 총 7개 공항으로 나타났다.
포항경주공항은 방위각시설 기초대가 약 70cm로 낮은 만큼 지하화하는 방안을 우선 검토하며, 기존 안전구역(활주로 양측 모두 92m)은 확대하거나, 활주로 이탈방지 시설(EMAS)을 도입한다.김해국제공항은 방위각시설 기초대(2개소)가 약 80~90cm로 낮은 만큼 지하화하는 방안을 우선 검토하며, 동편 활주로 북측(236m) 안전구역은 240m로 연장할 계획으로 현재 부지 내에서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무안국제공항은 기존 콘크리트 둔덕을 완전 철거(북측은 기철거)하고 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방위각시설을 재설치하며, 안전구역도 240m로 확대할 계획으로 현재 부지 내에서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울산공항과 원주공항은 방위각시설이 지면에 설치돼 개선이 필요하지 않으나, 울산 활주로 남측과 원주 활주로 남·북측의 안전구역(현재 90m)을 확대하거나 활주로 이탈방지 시설(EMAS) 설치를 추진한다.그 외 인천, 김포, 대구, 청주, 양양, 군산공항은 방위각시설이 지면 설치됐고, 안전구역도 권고 기준 이상을 확보하고 있다.국토부는 개선방안 발표 즉시 설계 발주에 착수하고, 각종 인허가 및 관계기관 협의기간도 단축하는 등 신속히 추진해 상반기 내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