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자]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민의힘 정당지지도가 전국지표조사(NBS), 한국갤럽, 리얼미터 등 이른바 3대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정당 지지도를 역전했다. 계엄·탄핵 정국에도 여권의 `정권 재창출`을 원한다는 응답이 `정권교체` 응답보다 높게 나타나면서 민주당의 당혹감이 읽힌다.21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최근 저조한 지지율이 분노한 여권 지지층의 결집으로 인한 과표집 현상이라고 분석하면서도 설 연휴까지 이같은 여론 추이가 이어질까 긴장하며 대응에 나섰다.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6~17일 조사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46.5%, 민주당 지지율은 39.0%로 오차범위(±3.1%p) 밖으로 벌어졌다.특히 이번 조사에서 주목해 볼 부분은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이 좋다고 답한 응답자는 48.6%로, `야권에 의한 정권교체`를 원한다는 응답자 46.2%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이는 보수 결집의 결과로 풀이된다. 보수층이 여론조사에 적극 응하고 있다는 점이 최근 국민의힘 지지도 상승세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다. 대통령·여당 지지도가 올라가야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생각에 여론조사에 적극 응해야 한다는 것이다.또 대화·타협이 아닌 고소·고발 남발,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소추, 윤 대통령 탄핵 사유 중 내란죄 삭제 논란 등 민주당의 대처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여권 지지층은 윤 대통령의 구속과 탄핵소추안 심판 개시로 상대적으로 야권보다 `조기 대선`의 위기감을 더 크게 느낀다는 분석도 있다.민주당은 아직은 크게 의미를 두지 않겠다며 침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당 지도부 소속 의원은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그대로 `정권연장`을 답할 것이고, 민주당이나 조국혁신당 등 진보 정당 지지자들은 `정권교체`를 답할 것"이라며 "정권연장 및 교체 지지율은 보수와 진보 지지층의 각 합계일뿐이라고 본다"고 일축했다.그러나 민주당은 이런 보수강세 여론조사 결과가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 탄핵 국면 초반과 최근의 여론 흐름이 바뀌고 있는 점만은 분명하기 때문이다.민주당 입장에서는 합리적 보수층과 중도층을 윤 대통령 극렬지지층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주당은 지난 주말 발생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서울서부지법 난입을 `사법부에 대한 폭동`으로 정의하기로 결정하는 등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민주당은 "(극렬 시위자들은) 곧 훈방될 것"이라고 말한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난입 사태를 부추긴 장본인이라고 보고 국회의원직 제명안을 이날 중 제출할 방침이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서도 이번 주 본회의 긴급현안질의를 추진하고 있다.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국민의힘은 이미 법제사법위원회와 행정안전위원회에서 현안질의를 했기 때문에 추가로 할 필요가 없다고 반대하고 있다"며 "상임위 차원과 별개로 국회에서도 현안질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잇단 여론조사에 당혹…野, 극우 결집 차단..
뉴스

잇단 여론조사에 당혹…野, 극우 결집 차단

경상매일신문 기자 gsm333@hanmail.net 입력 2025/01/21 20:20
‘정권 재창출’, ‘교체’ 보다 높아
민주, 저조한 지지율 장기화 경계
“법원 난입, 사법부에 대한 폭동”

[경상매일신문=민영일자]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민의힘 정당지지도가 전국지표조사(NBS), 한국갤럽, 리얼미터 등 이른바 3대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정당 지지도를 역전했다. 계엄·탄핵 정국에도 여권의 '정권 재창출'을 원한다는 응답이 '정권교체' 응답보다 높게 나타나면서 민주당의 당혹감이 읽힌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최근 저조한 지지율이 분노한 여권 지지층의 결집으로 인한 과표집 현상이라고 분석하면서도 설 연휴까지 이같은 여론 추이가 이어질까 긴장하며 대응에 나섰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6~17일 조사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46.5%, 민주당 지지율은 39.0%로 오차범위(±3.1%p) 밖으로 벌어졌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주목해 볼 부분은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이 좋다고 답한 응답자는 48.6%로, '야권에 의한 정권교체'를 원한다는 응답자 46.2%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보수 결집의 결과로 풀이된다. 보수층이 여론조사에 적극 응하고 있다는 점이 최근 국민의힘 지지도 상승세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다. 대통령·여당 지지도가 올라가야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생각에 여론조사에 적극 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대화·타협이 아닌 고소·고발 남발,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소추, 윤 대통령 탄핵 사유 중 내란죄 삭제 논란 등 민주당의 대처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여권 지지층은 윤 대통령의 구속과 탄핵소추안 심판 개시로 상대적으로 야권보다 '조기 대선'의 위기감을 더 크게 느낀다는 분석도 있다.

민주당은 아직은 크게 의미를 두지 않겠다며 침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당 지도부 소속 의원은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그대로 '정권연장'을 답할 것이고, 민주당이나 조국혁신당 등 진보 정당 지지자들은 '정권교체'를 답할 것"이라며 "정권연장 및 교체 지지율은 보수와 진보 지지층의 각 합계일뿐이라고 본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이런 보수강세 여론조사 결과가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 탄핵 국면 초반과 최근의 여론 흐름이 바뀌고 있는 점만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민주당 입장에서는 합리적 보수층과 중도층을 윤 대통령 극렬지지층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주당은 지난 주말 발생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서울서부지법 난입을 '사법부에 대한 폭동'으로 정의하기로 결정하는 등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민주당은 "(극렬 시위자들은) 곧 훈방될 것"이라고 말한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난입 사태를 부추긴 장본인이라고 보고 국회의원직 제명안을 이날 중 제출할 방침이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서도 이번 주 본회의 긴급현안질의를 추진하고 있다.

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국민의힘은 이미 법제사법위원회와 행정안전위원회에서 현안질의를 했기 때문에 추가로 할 필요가 없다고 반대하고 있다"며 "상임위 차원과 별개로 국회에서도 현안질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