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자]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민의힘 정당지지도가 전국지표조사(NBS), 한국갤럽, 리얼미터 등 이른바 3대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정당 지지도를 역전했다. 계엄·탄핵 정국에도 여권의 `정권 재창출`을 원한다는 응답이 `정권교체` 응답보다 높게 나타나면서 민주당의 당혹감이 읽힌다.21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최근 저조한 지지율이 분노한 여권 지지층의 결집으로 인한 과표집 현상이라고 분석하면서도 설 연휴까지 이같은 여론 추이가 이어질까 긴장하며 대응에 나섰다.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6~17일 조사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46.5%, 민주당 지지율은 39.0%로 오차범위(±3.1%p) 밖으로 벌어졌다.특히 이번 조사에서 주목해 볼 부분은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이 좋다고 답한 응답자는 48.6%로, `야권에 의한 정권교체`를 원한다는 응답자 46.2%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이는 보수 결집의 결과로 풀이된다. 보수층이 여론조사에 적극 응하고 있다는 점이 최근 국민의힘 지지도 상승세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다. 대통령·여당 지지도가 올라가야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생각에 여론조사에 적극 응해야 한다는 것이다.또 대화·타협이 아닌 고소·고발 남발,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소추, 윤 대통령 탄핵 사유 중 내란죄 삭제 논란 등 민주당의 대처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여권 지지층은 윤 대통령의 구속과 탄핵소추안 심판 개시로 상대적으로 야권보다 `조기 대선`의 위기감을 더 크게 느낀다는 분석도 있다.민주당은 아직은 크게 의미를 두지 않겠다며 침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당 지도부 소속 의원은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그대로 `정권연장`을 답할 것이고, 민주당이나 조국혁신당 등 진보 정당 지지자들은 `정권교체`를 답할 것"이라며 "정권연장 및 교체 지지율은 보수와 진보 지지층의 각 합계일뿐이라고 본다"고 일축했다.그러나 민주당은 이런 보수강세 여론조사 결과가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 탄핵 국면 초반과 최근의 여론 흐름이 바뀌고 있는 점만은 분명하기 때문이다.민주당 입장에서는 합리적 보수층과 중도층을 윤 대통령 극렬지지층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주당은 지난 주말 발생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서울서부지법 난입을 `사법부에 대한 폭동`으로 정의하기로 결정하는 등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민주당은 "(극렬 시위자들은) 곧 훈방될 것"이라고 말한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난입 사태를 부추긴 장본인이라고 보고 국회의원직 제명안을 이날 중 제출할 방침이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서도 이번 주 본회의 긴급현안질의를 추진하고 있다.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국민의힘은 이미 법제사법위원회와 행정안전위원회에서 현안질의를 했기 때문에 추가로 할 필요가 없다고 반대하고 있다"며 "상임위 차원과 별개로 국회에서도 현안질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