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서울대 의과대학이 20일 본과 3·4학년 수업을 시작한 가운데 정원의 약 30%에 달하는 학생이 수업을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21일 대학가에 따르면 전날 개강한 서울대 의대 본과 3·4학년 수업에 3학년 40명, 4학년 30명 등 약 70명의 학생이 참석했다.서울대 의대의 한 학년 정원은 135명으로, 두 학년의 정원 270명 가운데 약 30% 가까이가 학교에 복귀한 셈이다.서울대 의대 관계자는 "본과 3,4학년의 수업을 시작했고, 3학년 40명과 4학년 30여명이 수업을 들었다"며 "(학생 복귀는) 자율적으로 판단해서 결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서울대 의대 본과 2학년은 다음 달 3일, 본과 1학년은 3월 4일 첫 수업을 시작한다. 예과 1학년과 2학년 수업 역시 3월 4일 시작한다.의정갈등이 1년 넘게 이어지면서 의대생들은 올해도 정부의 입장 변화가 없다면 집단 휴학을 통해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은 "2025학년도 투쟁을 휴학계 제출로 진행한다"고 공지했다.그러나 의대 증원 이후 처음 치러진 2025학년도 대입 일정이 마무리돼 가고, 1년 넘게 이어진 휴학 투쟁에 의대생들 사이에서도 `단일대오`에 점차 균열이 생기고 일부 복귀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앞서 지난 10~13일 진행된 서울대 의대 비공개 토론회에서 학생들은 복학 여부를 두고 개개인의 자율과 판단에 맡기자는 뜻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서울대 의대생 복귀가 다른 대학 의대생들의 복귀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서울의 한 사립대 의대 24학번 이 모 씨(19)는 "아직은 다들 수업을 들어야 하는 게 맞는 건지, 어떻게 해야 하나 혼란스러운 상태"라고 분위기를 전했다.한편 2025학년도 의대 신입생 입학을 앞두고 교육 당국은 의료계와의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해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정부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원점 재논의`를 내세우며 의대생들이 2월까지는 복귀해야 정상적인 학사 운영이 가능하다고 호소하고 있다.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최근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신임 회장을 만나 의과대학 정원 문제와 의대 교육 정상화를 논의하기도 했다.교육부에 따르면 이 부총리와 김 회장은 지난 18일 비공개로 만나 의료사태 장기화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도록 노력하자는 데 뜻을 모았고, 교육마스터플랜에 대해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