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지난 2023년 입원환자 대상 혈액검사가 남용돼, 연간 1만5834명분의 헌혈량에 해당하는 6334리터(L) 이상의 혈액이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급에서는 평균 횟수 대비 2배 이상 많은 채혈이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일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이같은 내용의 `2023년 입원환자 일반혈액검사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대상은 상급종합병원 45개소, 종합병원 330개소, 병원 1344개소 등이다.공단은 일반혈액검사 시행 빈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별·연령·수술 여부 등 요인들을 보정해 평균 수준을 초과한 검사 횟수를 분석해 의료기관별 입원 30일당 일반혈액검사 횟수를 산출·비교했다.일반혈액검사는 채혈을 통해 혈액에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혈색소 수를 측정해 혈액의 상태를 파악하는 검사다.일반혈액검사 1회당 3㎖ 채혈(최소 채혈량)을 가정한 결과 2023년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입원환자에게 평균을 초과해 시행한 일반혈액검사 횟수는 총 211만 회로 최소 6334L의 혈액이 낭비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연간 1만5834명이 헌혈해야 확보할 수 있는 양이다.상급종합병원의 입원 30일당 일반혈액검사 시행 횟수 평균은 12.8회, 종합병원은 7.5회, 병원은 6.3회다.일반혈액검사 횟수는 상급종합병원일수록 많고, 같은 종별 내 의료기관 간의 편차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일반혈액검사 횟수가 평균 대비 1.5배 이상 많은 요양기관은 120개소(6.0%), 2배 많은 요양기관도 17개소(1.0%)였다.상급종합병원의 경우, 평균 대비 1.5배 이상 일반혈액검사를 시행하는 기관은 1개소(2.2%)이며, 종합병원은 8개소(2.4%)였다.의료기관 종별이 병원인 경우, 111개소(8.3%)가 1.5배 이상 시행하고 있었으며, 2배 이상 시행 기관은 17개소(1.3%)로 확인됐다.평균 대비 2배 이상 일반혈액검사를 많이 시행하는 의료기관 14곳은 모두 병원급이었다.입원 시 일반혈액검사 횟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A 병원은 병원급 의료기관의 평균 대비 1.5배(보정 전) 많으나, 유사한 진료 형태의 의료기관과 비교해 11.66배(보정 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보험자 의료기관인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은 입원 30일당 8.7회의 일반혈액검사를 시행했으며 유사한 특성을 가진 의료기관의 평균보다 낮은 수준(평균 대비 0.76배)으로 일반혈액검사를 수행한 것으로 파악됐다.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앞으로 과다 의료 이용의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분석 대상과 항목을 지속해서 발굴하고 과다한 의료행위로 인한 국민 불편 해소와 의료비 절감 및 의료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혈액검사 남용으로 연간 6334ℓ 버려진다..
뉴스

혈액검사 남용으로 연간 6334ℓ 버려진다

안종규 기자 ajk22@ksmnews.co.kr 입력 2025/01/20 19:43
1만5834명분 헌헐량 해당

[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지난 2023년 입원환자 대상 혈액검사가 남용돼, 연간 1만5834명분의 헌혈량에 해당하는 6334리터(L) 이상의 혈액이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급에서는 평균 횟수 대비 2배 이상 많은 채혈이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일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이같은 내용의 '2023년 입원환자 일반혈액검사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대상은 상급종합병원 45개소, 종합병원 330개소, 병원 1344개소 등이다.

공단은 일반혈액검사 시행 빈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별·연령·수술 여부 등 요인들을 보정해 평균 수준을 초과한 검사 횟수를 분석해 의료기관별 입원 30일당 일반혈액검사 횟수를 산출·비교했다.

일반혈액검사는 채혈을 통해 혈액에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혈색소 수를 측정해 혈액의 상태를 파악하는 검사다.

일반혈액검사 1회당 3㎖ 채혈(최소 채혈량)을 가정한 결과 2023년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입원환자에게 평균을 초과해 시행한 일반혈액검사 횟수는 총 211만 회로 최소 6334L의 혈액이 낭비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연간 1만5834명이 헌혈해야 확보할 수 있는 양이다.

상급종합병원의 입원 30일당 일반혈액검사 시행 횟수 평균은 12.8회, 종합병원은 7.5회, 병원은 6.3회다.

일반혈액검사 횟수는 상급종합병원일수록 많고, 같은 종별 내 의료기관 간의 편차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혈액검사 횟수가 평균 대비 1.5배 이상 많은 요양기관은 120개소(6.0%), 2배 많은 요양기관도 17개소(1.0%)였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평균 대비 1.5배 이상 일반혈액검사를 시행하는 기관은 1개소(2.2%)이며, 종합병원은 8개소(2.4%)였다.

의료기관 종별이 병원인 경우, 111개소(8.3%)가 1.5배 이상 시행하고 있었으며, 2배 이상 시행 기관은 17개소(1.3%)로 확인됐다.

평균 대비 2배 이상 일반혈액검사를 많이 시행하는 의료기관 14곳은 모두 병원급이었다.

입원 시 일반혈액검사 횟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A 병원은 병원급 의료기관의 평균 대비 1.5배(보정 전) 많으나, 유사한 진료 형태의 의료기관과 비교해 11.66배(보정 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험자 의료기관인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은 입원 30일당 8.7회의 일반혈액검사를 시행했으며 유사한 특성을 가진 의료기관의 평균보다 낮은 수준(평균 대비 0.76배)으로 일반혈액검사를 수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앞으로 과다 의료 이용의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분석 대상과 항목을 지속해서 발굴하고 과다한 의료행위로 인한 국민 불편 해소와 의료비 절감 및 의료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