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전국 40개 의과대학(1개 의학전문대학원 포함) 학장들이 2026학년도 입학 정원은 최대 3058명이어야 한다는 의견을 정부에 전하기로 합의했다. 2025학년도에 1509명을 늘린 데 비해 상당수 의대생의 휴학 등 의정갈등 상황을 고려했을 때 1명의 증원도 어렵다는 취지다.13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대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는 지난 11일 온라인 회의를 진행하고 이같이 결정했다. 앞선 10일 정부가 △2026학년도 정원 원점 재논의 △복귀 전공의 수련 특례·입영 연기 등을 약속한 데 따른 논의 결과다.구체적으로 협회는 "2026학년도 의대 입학정원은 최대 3058명(증원 0명)을 마지노선으로 정부에 요청한다"고 명시했다. 이는 증원 전 정원(3058명)도 많이 책정됐다는 취지로, 증원 전보다 감축할 필요성도 시사한 셈이다.협회는 또 "올해 학생들이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며, 학생들에게 최선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의 확실한 지원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했다.이어 "2027학년도 이후 의대 정원은 의료계가 핵심적으로 참여하는 기구에서 합리적인 추계에 의해 정하고, 의료계 동의 하에 결정한다"면서 "이상 요구 사항들을 대한의사협회(의협) 주도 의료계 협의체에 참여,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는 5월까지 2026학년도 대학별 모집 정원을 공지하려면 다음 달에는 2026학년도 총정원이 확정돼야 한다. 하루빨리 관련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 협회는 최근 대한의학회·대한수련병원협회 등과 의대증원 유예 등이 담긴 건의문을 정부에 보낸 바 있다.협회 임원들은 11일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 비상대책위원회를 만나 "학장들도 24학번(휴학생), 25학번(신입생) 동시 교육은 불가능하다는 공감대를 이뤘고 이를 방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