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대구상공회의소는 지난해 12월 23~26일까지 대구기업 444개사(응답 222개사)를 대상으로 ‘원/달러 환율 급등에 따른 영향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차기 미국 정부의 무역규제 우려와 국내 정세 불안 등으로 인한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응답기업의 2곳 중 1곳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고,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응답은 9.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들이 꼽은 이유(복수응답)로는 ‘수입 원자재 및 에너지가 상승’이 84.2%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물류비용 증가’(43.9%), ‘신규 또는 기존 해외투자 차질’(7.0%), ‘해외 채무 원리금 상환 부담 가중’(7.0%), ‘해외법인 및 지사 관리비용 증가’(5.3%), ‘기타’(2.9%)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4곳 중 3곳이 그 이유로 ‘수출 실적의 환차익 효과’를 꼽았다.
수출입 대금 수령(결제) 시 활용하는 외화(복수 응답)로는 ‘달러화’가 각각 91.0%와 78.6%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엔화’(각각 12.6%, 14.3%), ‘유로화’(각각 6.3%, 6.1%), ‘위안화’(각각 3.6%, 5.1%), ‘기타’(각각 3.6%, 2.0%) 순으로 나타났다.
환율 변동에 대한 대응(복수 응답)으로는 ‘원가절감 노력’(47.3%)을 가장 많이 꼽았고, ‘별다른 대응을 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39.2%를 차지해 지역기업이 환리스크 관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수출입 단가(혹은 물량) 조절’(22.5%), ‘국내 판매가격 조정’(14.4%) 등의 대응방안을 꼽았다.
한편, 기업이 생각하는 적정 원/달러 환율은 ‘1250~1300원 미만’이 42.3%로 가장 많았으며, 언제쯤 안정화가 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70.7%로가 ‘2025년 3분기 이후’로 응답했다.
또한, 환리스크와 관련해 정부에 바라는 지원 정책(복수 응답)으로는 ‘외환시장 적극 개입’이 63.1%로 가장 높았고, ‘정책금융 지원’이 49.5%로 뒤를 이었다.
이어서 ‘납품단가 연동제 확대’(23.4%), ‘환보험 가입비용 지원’(11.3%), ‘환리스크 관리 컨설팅 지원’(8.1%), ‘기타’(2.3%)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 제조업체 A사 관계자는 ”생산단가에 원재료비가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다 보니 환율 급등으로 인한 피해가 매우 크다“며 ”생산품목이 사실상 가격을 통제 받는 품목이기 때문에 판매가를 조정하기도 힘든 상황이다“고 말했다.
치과용 의료기기 제조업체 B사 관계자는 ”전체 매출액 중 수출액이 6~70%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환차익 효과는 보고 있지만, 진행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는 해외 투자(공장 신설 등)와 관련해서는 걱정이 많다“고 말했다.
건설업체 C사 관계자는 ”건설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환율 급등으로 인한 원자재가 상승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다“며 ”공사 입찰 당시의 원가계산서 상 ‘재료비’가 환율 급등으로 인해 현재와 차이가 많이 나는 만큼, 관급 공사만이라도 이런 부분을 감안해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상길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대구지역은 중소기업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중소기업은 대기업과는 달리 환리스크에 굉장히 취약하다“며 ”트럼프 2기 출범과 국내 정세 불안 등으로 그 어느 때 보다 수출환경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환율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경영 안정을 위한 정책금융 지원을 포함해 정부의 다각적인 환리스크 관리 지원책과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면서, 지역기업에도 위기를 기회로 삼아 수출 역량을 더욱 강화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