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최홍수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한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우수성과 100선`은 국가 발전을 이끄는 과학기술 성과를 널리 알리고,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며 과학기술인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올해로 19년째를 맞이한 이 제도는 각 부처에서 추천한 연구개발 성과 중 우수한 사례를 선정한다. 올해는 총 869건의 후보 성과를 대상으로 전문가 100명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의 심사와 대국민 공개 검증을 거쳐 최종 선정됐다.최홍수 교수는 ‘자성 나노입자 기반 3차원 세포구체로봇을 이용한 뇌신경 회로 연결 기술’로 기계·소재 분야에서 우수성과로 선정됐다. 이 기술은 자기장(전자석의 힘)을 활용해 나노 크기의 자성 물질이 포함된 세포 집합체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자기장을 이용해 뇌 신경 세포를 전달하고 신경 회로를 연결할 수 있는 `뇌 신경 회로 공학`의 기반을 마련한 연구로, 신경망 복구와 신경 관련 질환 치료 기술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동물(쥐) 실험 환경에서 자성 물질이 포함된 세포 집합체를 특정 신경 회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이를 기능적으로 작동하게 한 점이 주목받았다. 이는 뇌의 손상된 신경 회로를 다시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최홍수 교수는 “최고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돼 매우 기쁘다. 앞으로도 관련 분야의 연구를 지속하며 더 큰 성과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최홍수 교수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및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전기전자공학자협회)의 정회원(Fellow)으로 선정됐다. DGIST는 연구자들이 혁신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 인프라를 확충하고,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등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국내외 협력을 통해 세계적인 대학으로 도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