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이 아직 시작도 되지 않은 시점에서 벌써 내년 추경 편성을 서둘러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 그것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입에서다. 사상 초유의 야당 단독으로 내년 예산을 통과시킨지 불과 10일도 되지 않은 시점에서 나온 발언이다. 민주당은 여당인 국민의힘의 반발 속에도 지난 10일 정부안 677.4조원에서 4.1조원을 삭감한 내년도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지난 3일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로 새로운 상황이 발생해서라고 변명할 수도 없다. 그로부터 1주일 지난 시점에 내년 예산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기 때문이다. 1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와 첫 회동에서 “경제가 너무 어렵다. 조속히 민생안정을 위한 민생 추경을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라며 “전향적인 검토를 부탁한다”고 말했다.경기 부양의 필요성은 이전부터 제기돼 왔던 문제다.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서 제조업 취업자가 1년 전보다 9만5000여 명 줄며 5개월 연속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계엄 선포 이전에도 고용 여건 및 국내 경기 상황이 녹록지 않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민주당이 국회의원의 연봉과 활동비는 인상하면서, 전액 삭감에 나선 4조원에는 치안과 국방 관련 예산은 물론 청년과 대학생, 원전·대왕고래와 같은 미래 먹거리 예산이 포함됐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국기(國基)를 뒤흔들고 미래를 좀 먹을 수 있는 주요 예산 공백 사태를 초래하고서도 ‘추경으로 메우면 된다’는 식의 무책임한 국회 운용엔 국민의 질타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0년 11월 민주당 박범계 의원이 국회 법사위 예산심사 전체회의에서 법원행정처장에게 “의원님 살려주십시오. 해보세요”라고 말한 것이 오버랩된다. 해당 사건으로 강요죄와 모욕죄 논란까지 생겨난 바 있다. 민주당은 국가 예산이 당비가 아니라, 국민의 혈세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