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동해 심해 석유·가스전을 개발하는 ‘대왕고래 프로젝트’예산이 대폭 삭감되면서 사업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0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민주당은 산업통상자원부의 내년도 예산안 가운데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을 뜻하는 ‘유전개발사업출자’ 부문 예산 505억원 중 497억원을 전격 삭감했다.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탐사에는 약 1천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를 정부 50%, 한국석유공사 50%씩 각각 부담한다.
하지만 정부 측 예산 505억원중 무려 497억원이 삭감돼 국비 지원은 불가능해졌다.정부 측 예산 확보가 좌절됐지만,사업주체인 한국석유공사는 채권발행등 자체 예산으로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석유공사는 지난 2020년부터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이어지고 있어, 이 또한 여의치 않을 전망이다.총 5차례가 진행될 시추탐사 작업이 시작부터 예산확보에 제동이 걸린 셈이다.
그래도 한 가닥 희망은 있다.
1차 시추에서 석유·가스의 존재를 바로 발견하지 못하더라도, 암반에서 탄화수소 존재를 확인한다면 해외자본 유치, 추경예산 편성 등을 통해 비용을 충당할 수 있다.
시추선 계약 등이 완료된 탓에 한국석유공사는 1차 시추탐사 작업을 위한 준비가 진행중이다.
시추를 맡은 ‘웨스트 카펠라’호는 이미 9일 새벽 한국에 들어와 부산 외항에 정박했다. 약 1주일간 시추에 필요한 자재를 선적하고, 오는 17일 무렵 시추 해역으로 출발해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정부는 해수면 아래 1㎞ 이상 깊이의 대륙붕 해저까지 시추공을 뚫은 후 암석 시료를 확보해 해당 좌표의 석유·가스 부존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다.시료 암석층을 확보하는 데까지 2개월가량 소요될 전망이다. 1차 시추에서 유의미한 석유·가스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으면 국내 예산 지원이나 해외 투자 유치가 어려워질 수 있다.하지만, 가스·석유 매장량을 입증할 방법은 시추하는 것뿐이어서 향후 지속적인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정부 예산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칠구 경북도의원은 “지난 7월 정부가 발표한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대한민국을 산유국으로 도약시킬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며,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석유와 가스 부존 가능성이 높은 7개 유망구조가 도출됐고, 최대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가스전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가 천연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4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양”이라고 주장했다.이어 “경북도와 지역 정치권이 적극적으로 나서 예산을 복원하고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다수당인 야당과의 협상에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