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안동시가 발표한 ‘대구경북 행정통합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부정 응답을 유도한 질문으로 조사 타당성과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대구시가 보인 반응으로 행정통합에 대해 여론조사 문항이 경북 도민을 자극, 경북이 낮은 행정통합 찬성 수치를 보였다는 주장이다. 안동시가 지난달 28일 발표한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 대구·경북 통합에 경북 도민의 37.9%가 찬성하고, 47.1%가 반대했다. 반면, 대구시민의 47.9%가 찬성, 42.2%가 반대해 대구·경북 통합을 두고 두 지자체 간 의견통합이 절실함을 보여주는 여론조사 결과다.행정통합으로 경북 도민은 대구의 이득이 더 클 것(31.9%)이라고 했고, 대구 시민은 모두에 이득이 될 것(33.2%)이라고 응답했다. 이에 대해 경북 도민은 대구 쏠림에 대한 우려가 높은 반면, 대구시민은 대구 중심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는 반응으로 분석됐다.행정통합 추진에 대한 인지도는 61.1%가 ‘알고 있다’고 답한 반면, 38.9%는 ‘모른다’고 답변해 주민설명회나 대대적인 광고에도 시도민 10명 중 4명은 행정통합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정확한 정보를 얻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에 대해 대구시는 지난달 28일 안동시가 발표한 ‘대구경북 행정통합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부정응답을 유도하는 편향된 질문에 따른 것으로 조사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입장문을 발표했다.이번 조사에서 문제를 제기한 대표적인 조사 문항은 ‘현재 주민투표 동의 절차 없이 추진되고 있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이라고 지적했다.복수의 리서치 기관과 전문가는 "이 문항은 두 가지 방향으로 질문을 나눠서 해야 신뢰도가 높다"며, "주민투표에 대한 찬반 여론과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찬반 여론을 분명히 구분, 두 가지로 질문을 나눠서 해야 타당했다"고 지적했다.경북도 관계자는 "대구시와 경북도가 합의된 행정통합의 내용으로 설문조사를 해야 하나 대구시 연구보고서와 경북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각각 다르게 질문한 것도 타당성과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이러한 논란에 대해 안동시 담당자는 "대구경북 행정통합 북부권 주민설명회에서 주민이 질문한 내용을 참고했지 여론을 조작하거나 신뢰성을 떨어지게 할 의도는 없었다. 시민들의 목소리를 여론조사에 참고했을 뿐이다"고 말했다.한편,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024 분권과자치 대구경북포럼`에 참석해 대구·경북(TK) 행정통합과 관련해 "주민투표를 거쳐서 하는 게 정상이지만 주민투표를 할 경우 지방선거와 대선 등 다가올 선거 탓에 통합이 아닌 정치 행위로 갈 것"이란 우려를 표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