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올 하반기 구직 활동에 나섰던 미취업 청년 10명 중 4명은 상반기보다 하반기 들어 취업 환경이 더 악화했다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생들이 꼽은 `좋은 일자리` 키워드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복리후생, 공정한 보상이었다.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 9월 30일부터 지난 17일까지 전국 20~34세 남녀 구직자 1천명을 상대로 조사해 27일 발표한 `미취업 청년의 취업준비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3.1%가 "올 하반기 취업환경이 상반기보다 악화했다"고 답했다.취업 환경이 더 나빠졌다고 느낀 이유는 `경기 침체 지속`이 74.7%로 가장 높았으며 `청년 실업 심화로 인한 일자리 경쟁 격화`가 71.0%로 뒤를 이었다. 기업들의 신규 인력 수요가 줄었다고 느낀 응답자도 58.2%로 절반이 넘었다.취업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애로사항은 `직무 관련 업무 경험 및 경력 개발 기회 부족`이 69.0%로 가장 많았다. 취업하고자 하는 일자리 정보 획득이 어려웠다는 응답은 52.3%였다.미취업 청년들은 신규 채용에서 기업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요소로 `해당 직무 관련 일경험`(54.3%)을 꼽았다. 취준생들은 `직무 관련 경력`의 중요성을 체감하면서도, 취업 준비 과정에서 해당 직무 경력나 정보를 얻기 어려워 한다는 것이다.   취준생들이 꼽은 `좋은 일자리`는 △워라밸 가능성이 큰 일자리(59.2%) △직원 복리후생·복지제도를 잘 갖춘 일자리(54.2%) △공정한 보상이 이뤄지는 일자리(50.1%)가 과반을 차지했다. 특히 여성 취준생일수록 복리후생과 공정한 보상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괜찮은 일자리 연봉 수준`(신입 기준)은 3천만원 이상~4천만원 미만이 50.5%로 가장 많았으며 `괜찮은 일자리 소재 지역`은 수도권이 61.2%로 나타났다.취업 준비를 하면서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취준생 비율은 42.6%였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6.7%, 30대가 32%였으며 전공별로는 이공계열이 50.2%, 인문계열이 37.2%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